2014년 1월 17일 금요일[(백) 성 안토니오 아빠스 기념일]
복음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안토니오 성인은 3세기 중엽 이집트의 중부 지방 코마나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느 날 “네가 완전한 사람이 되려거든, 가서 너의 재산을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주어라.”(마태 19,21) 하신 예수님의 말씀에 감화되어, 자신의 많은 상속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준 뒤 사막에서 은수 생활을 하였다. 많은 사람이 안토니오를 따르자 그는 수도원을 세우고 세상의 그릇된 가치를 거슬러 극기와 희생의 삶을 이어 갔다. 성인은 ‘사막의 성인’, ‘수도 생활의 시조’로 불릴 만큼 서방 교회의 수도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4세기 중엽 사막에서 선종하였다.
본기도
하느님, 복된 안토니오 아빠스가 광야의 은수 생활로 하느님을 섬기게 하셨으니, 저희도 그의 모범과 전구로 저희 자신을 버리고, 세상 그 무엇보다도 주님을 사랑하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성자의 이름으로 아멘.
말씀의 초대
이스라엘의 원로들은 사무엘에게 임금을 세워 달라고 요구한다. 사무엘은 임금의 횡포로 고통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지만 임금이 전쟁을 이끄는 다른 민족들을 부러워하는 이들은 뜻을 굽히지 않는다(제1독서). 카파르나움에서 사람들은 지붕을 벗기고 구멍을 내어 움직이지 못하는 중풍 병자를 예수님 앞에 데려간다. 그들의 믿음을 보신 예수님께서는 중풍 병자의 죄를 용서하신다. 그리고 죄의 용서는 곧 치유라는 사실을 율법 학자들에게 똑똑히 보여 주신다(복음).
제1독서 <여러분은 임금 때문에 울부짖겠지만, 주님께서는 응답하지 않으실 것입니다.>
▥ 사무엘기 상권의 말씀입니다. 8,4-7.10-22ㄱ
복음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1-12
1 며칠 뒤에 예수님께서 카파르나움으로 들어가셨다. 그분께서 집에 계시다는 소문이 퍼지자, 2 문 앞까지 빈자리가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복음 말씀을 전하셨다.
3 그때에 사람들이 어떤 중풍 병자를 그분께 데리고 왔다. 그 병자는 네 사람이 들것에 들고 있었는데, 4 군중 때문에 그분께 가까이 데려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분께서 계신 자리의 지붕을 벗기고 구멍을 내어, 중풍 병자가 누워 있는 들것을 달아 내려보냈다. 5 예수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얘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6 율법 학자 몇 사람이 거기에 앉아 있다가 마음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였다. 7 ‘이자가 어떻게 저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하느님을 모독하는군. 하느님 한 분 외에 누가 죄를 용서할 수 있단 말인가?’
8 예수님께서는 곧바로 그들이 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는 것을 당신 영으로 아시고 말씀하셨다. “너희는 어찌하여 마음속으로 의아하게 생각하느냐? 9 중풍 병자에게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 하고 말하는 것과 ‘일어나 네 들것을 가지고 걸어가라.’ 하고 말하는 것 가운데에서 어느 쪽이 더 쉬우냐? 10 이제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너희가 알게 해 주겠다.” 그러고 나서 중풍 병자에게 말씀하셨다. 11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 들것을 들고 집으로 돌아가거라.”
12 그러자 그는 일어나 곧바로 들것을 가지고,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밖으로 걸어 나갔다. 이에 모든 사람이 크게 놀라 하느님을 찬양하며 말하였다. “이런 일은 일찍이 본 적이 없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복된 안토니오가 어둠의 세력을 누르고 승리하게 하셨으니, 저희도 구원의 성사로 힘을 얻어, 악의 유혹을 물리치고 승리를 거두게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 드리나이다. 아멘.
오늘의 묵상
예수님께서는 오늘 복음에서 죄의 용서와 치유가 내적으로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이 구원이 드러나는 자리임을 분명히 보여 주십니다. 이러한 점에서 보자면 우리 삶에서 구원을 가장 직접적으로 실감하게 되는 사건은 바로 용서일 것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통하여 죄를 용서받았음을 깊이 깨닫고, 그에 대한 감사의 응답으로 다른 이를 용서하는 행위를 할 때 우리는 구원을 실제로 살게 됩니다. 그 반면에 용서의 어려움을 체험하고 심지어 용서가 불가능하다고까지 느끼는 순간, 주님의 온전한 구원과 치유에 대한 믿음 역시 흔들리기 시작합니다.
지난 가을에 본 연극 한 편의 강한 인상이 지금도 생생합니다. 러시아의 한 극단이 영국의 유명한 연출가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공연한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폭풍우)였습니다. 놀라운 연기와 신선한 연출에도 감탄했지만 무엇보다도 대문호 셰익스피어가 자신의 마지막 작품에서 남긴 ‘용서’라는 주제를 다시 음미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연극의 뒷부분인 에필로그에 나오는 주인공 프로스페로의 마지막 대사는 용서만이 인생의 행복을 다시 찾는 길이라는 작가의 마지막 확신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제 저는 부릴 정령도 없고/ 걸 수 있는 마술도 없고 해서/ 기도로 구원되지 않는다면/ 저의 마지막은 절망이 됩니다./ 기도는 뚫고 들어가 자비를 움직여서/ 온갖 잘못을 용서합니다./ 여러분도 죄를 용서받으시려거든/ 관대하게 저를 놓아주십시오.”
우리는 용서가 때로는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는 것과, 그러나 용서하지 못한다면 행복할 수 없다는, 이 두 가지 모순된 사실을 체험하며 살아갑니다. 프로스페로에게 용서가 삶을 건 도전이었듯이 우리에게도 용서는 그것을 감행할 용기를 요구합니다. 그것을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요? 바로 우리 죄를 용서해 주시어 우리가 온전하게 치유받고 살아가기를 원하시는 주님의 자비로운 마음입니다. 그분을 바라보면서 걷는 우리의 삶이라면, 용서의 힘은 분명히 우리 안에 소리 없이 자라나 있을 것입니다.
아산 공세리성당 루르드성모상
| |||||||
| ||
2014년 1월 17일 금요일[(백) 성 안토니오 아빠스 기념일]
복음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용서가 때로는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는 것과, 그러나 용서하지 못한다면 행복할 수 없다는, 이 두 가지 모순된 사실을 체험하며 살아갑니다.
우리 죄를 용서해 주시어 우리가 온전하게 치유받고 살아가기를 원하시는 주님의 자비로운 마음입니다.
그분을 바라보면서 걷는 우리의 삶이라면, 용서의 힘은 분명히 우리 안에 소리 없이 자라나 있을 것입니다.
<사람의 아들이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믿습니다...아멘.
- 2014년 1월17일...금요일...수산나 -
'굿뉴스 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년 1월 19일 주일[(녹) 연중 제2주일]복음 <보라,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0) | 2014.01.19 |
---|---|
2014년 1월 18일 토요일 [(녹) 연중 제1주간 토요일]복음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0) | 2014.01.18 |
2014년 1월 16일 목요일[(녹) 연중 제1주간 목요일] 복음 <그는 나병이 가시고 깨끗하게 되었다.> (0) | 2014.01.16 |
2014년 1월 15일 수요일[(녹) 연중 제1주간 수요일]복음 <예수님께서는 갖가지 질병을 앓는 많은 사람을 고쳐 주셨다.> (0) | 2014.01.15 |
2014년 1월 14일 화요일[(녹) 연중 제1주간 화요일]복음 <예수님께서는 권위를 가지고 사람들을 가르치셨다.> (0) | 2014.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