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240603 글/시] 격려의 언어로 말하라(차동엽 신부)/다가오는 매 순간은(고도편)

마르티나 2024. 6. 3. 09:02

2024년 6월3일(월) 글/시

 

격려의 언어로 말하라
 
 
우리는 말을 먹고 자란다.
어떤 말을 듣고 자랐는지에 따라 
그 결실이 달라진다.
 
미국 어느 교도소의 재소자 90%가 
성장하는 동안 부모로부터
 "너 같은 녀석은 결국 교도소에 갈 거야" 
하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괴테는 이렇게 말했다.
"인간은 보이는 대로 대접하면 
결국 그보다 못한 사람을 만들지만, 
잠재력대로 대접하면 그보다 큰 사람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늘 희망적인 말을 습관화해야 한다.
특히 자녀에게는 격려의 말이 
보약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감동적인 예화가 있다.
미국 존스 홉킨스병원 
소아신경외과 과장인 벤 카슨은 
세계 최초로 샴쌍둥이 분리수술에 성공한 의사다.
 
국내에도 소개된 "크게 생각하라"의 저자인 그는 
흑인 빈민가 출신의 열등생에서 
세계 최고의 소아과 의사로 성공하여 
오늘을 살아가는 젊은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고 있다.
 
하루는 그에게 기자가 물었다.
"오늘의 당신을 만들어 준 것은 무엇입니까?"
"나의 어머니 쇼냐 카슨 덕분입니다. 
 
어머니는 내가 늘 꼴찌를 하면서 
흑인이라고 따돌림을 당할 때, 
'벤, 넌 마음만 먹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어! 
노력만 하면 할 수 있어!'라는 말을 
끊임없이 들려주면서 
내게 격려와 용기를 주었습니다."
 
이처럼 큰 인물들 뒤에는 
그들을 먹여 키운 격려의 말이 있다.
 
나는 과연 누구에게 
격려의 말을 했을까 생각해 볼 일이다.
 
 
- 차동엽 신부,  무지개 원리 중에서

 

 

 

다가오는 매 순간은


다가오는 매 순간은
자신에게 달려 있다.

셰익스피어는 이런 현명한 말을 남겼다.

"세상에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다.
단지 생각에 따라 좋고 나쁨이 결정된다."

- 크리스 프렌티스의
《어떻게 흔들리지 않고 살 것인가》중에서 -



* 다가오는 매 순간,
무슨 일이 있을지 아무도 모릅니다.

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내 생각과 행동이 좋으면

좋은 일이,
나쁘면 나쁜 일이 생깁니다.

그것이 삶의 철칙입니다.

오늘도 많이 웃으세요.


- 고도원의 아침편지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