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개심사}
요약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사적기>에 의하면 654년 혜감국사가 창건할 당시에는 개원사라 했는데, 1350년 처능대사가 중건하면서 개심사라 했다고 한다. 1484년에 대웅전을 중창했으며, 1740년 중수하고 1955년 전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구릉형을 따르면서도 산지형으로 변천한 일탑형 가람배치를 보인다. 평탄한 지역에서 북으로 자연계단을 오르면 3단 가량으로 조성된 평탄한 사지가 보인다. 2단에 안양루가 남면하여 서 있고 중정으로의 입구는 안양루와 무량수전 사이의 협소한 가설문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심검당과 무량수전이 있고 정면에 안양루가 있는 표준형이다. 이외에도 명부전과 팔상전 등의 당우가 남아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654년(무열왕 1) 혜감국사가 창건할 당시에는 개원사라 했는데, 1350년(충정왕 2) 처능대사가 중건하면서 개심사라 했다고 한다. 1484년(성종 15)에 대웅전을 중창했으며 1740년 중수하고 1955년 전면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구릉형을 따르면서도 산지형으로 변천한 일탑형 가람배치를 보인다. 평탄한 지역에서 북으로 자연계단을 오르면 3단 가량으로 조성된 평탄한 사지가 보인다. 2단에 안양루가 남면하여 서 있고 중정으로의 입구는 안양루와 무량수전 사이의 협소한 가설문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심검당과 무량수전이 있고 정면에 안양루가 있는 표준형이다. 이외에도 명부전과 팔상전 등의 당우가 남아 있다.

개심사대웅전
보물 제143호. 1941년 대웅전 수리 때 발견된 묵서명에 의해 1484년(성종 15)에 세워져 1644년(인조 22)과 1710년(숙종 36)에 중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면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지대석과 판석을 놓고 다시 장대석의 갑석으로 마무리한 기단 위에 약간의 흘림이 있는 기둥과 민흘림기둥을 세웠다.
내부는 고주가 없이 통간으로 되어 있고, 종도리를 받고 있는 대공은 화려하게 초각된 파련대공을 사용했다. 종도리와 중도리 사이에는 솟을합장재를 두었다. 연등천장으로 상부에 가구가 노출되어 있다. 공포는 내삼출목·외이출목으로 초제공과 이제공의 외부살미 형태가 아래로 강직하게 내려뻗은 초기형태인 수서[垂舌]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붕은 맞배지붕으로서 다포계형식의 건물에서는 흔치 않은 것으로 주심포형식에서 다포계형식으로 옮겨가는 절충적인 양식을 보여주는 건물이다.

개심사대웅전, 주심포형식에서 다포계형식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목조건물(조선 초기), 보물 제143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출처] Daum 백과사전 |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찰] 세종시 영평사(2025.3.1) (0) | 2025.04.16 |
---|---|
[마음길따라 ]순천 선암사 탐방(2019.3.27.수) 3부 - 사진 128장 (0) | 2019.03.29 |
[마음길따라 ]순천 선암사 탐방(2019.3.27.수) 2부 - 사진 102장 (0) | 2019.03.29 |
[마음길따라] 순천 선암사 탐방(2019.3.27.수) 1부 - 사진 60장 (0) | 2019.03.29 |
[판노복] 수덕사 방생법회 참석(2018.4.18.수) 4부 <간월암> 등 95장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