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성남 문화해설사회 단합대회
주제: <강원도 홍천 수타사 견학 및 홍천 한우인삼 축제 행사 참여>
집합일시 및 장소: 2013년 10월11일 금요일 오전 8시30분, 성남문화원 앞.
참가자: 34명
일정:
8:30~10:30 - 차량 이동
10:30 ~12:10분- 홍천 '수타사' 견학
12:30~ 14:00- 한우인삼 행사장내 '한우구이 식사'
14;00~ 15:30- 자유시간 및 행사장 쇼핑
15:30~ 17:30- 성남문화원 도착
<연혁>
<가람배치>
<공작산 수타사 생태공원>
<성보문화재>
(요점정리) 수타사 동종 (보물 제 11-3호)
조선 숙종 때 활동하던 승려 '사인 비구' 가 만든 종...현재 그의 동종 작품 8구가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문경 김룡사 동종(보물 제11-2호)도 '사인 비구'가 만든 종으로 같은 양식이며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독특하게 표현하여 완숙미와 독창성이 돋보인다고 한다...^-^
문경 김룡사도 답사를 갔었는데 반갑다...ㅎㅎ...^-^
몸통 밑 부분에 1670년(현종11)에 조성되었음을 알려주는 문구가 있어 정확한 제작연대를 알 수 있으며 높이는 1m에 무게는 2,500근이 넘는다...^-^
종의 상대에 옴마니반메홈이 범어로 양각되어 있고, 그 아래 구름 위에 서서 양손으로 연꽃가지를 쥐고 있는 4분의 보살입상이 자리하고 계신다...^-^
보살입상 아래에 여러 기록을 돌려 주었는데 조성시기, 참여한 사람의 이름이 네모틀 안에 새겨져 있다고 한다...ㅎㅎ...^-^
그 아래 4개의 당좌가 있는데 모양이 매우 독특하다고 한다...ㅎㅎ...^-^
(요점정리) 월인석보 <권 17, 18>(보물 제745-5호)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상절』~ 세종 28년(1446)에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위해 아들인 수양대군이 불교서적을 참고하여 석가모니의 연보 즉 그의 일대기를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다.
『월인천강지곡』~세종 29년(1447)에 세종이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은 것이다.
『월인석보』<권 17, 18>(보물 제745-5호)는 세조 때 처음 간행된 초간본으로 2권 1책이다...^-^
본시 수타사의 인왕문에 있는 지국천왕상의 복장에서 꺼낸 것으로 알려졌다...ㅎㅎ...^-^
권17은 전부가 완전하며 『월인천강지곡』제311장에서 제317장까지 내용이다...^-^
권18은 제87장 하부가 떨어져 없어졌고 『월인천강지곡』제318장에서 제 324장까지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요점정리) 대적광전(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7호)
수타사의 본전인 대적광전은 인조 14년(1636)에 공잠대사가 중건한것으로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계 팔작지붕이다...^-^
지붕에 청기와 2장이 얹혀있으며 39개 수막새 기와위에 각각 연꽃 봉오리 모양의 백자를 얹었다...^-^
주불로 비로자나불 부처님을 모셨으며 영산회상도가 후불탱화로 걸려있다...^-^
또한 내부의 닫집은 장중하고 정교하며 화려하므로 수타사에 들러 이 닫집만 보아도 찾아온 보람을 느낄수 있다고 한다...ㅎㅎ...다시 잘~ 보아야지...ㅎㅎ...^-^
많은 포로 구성된 보궁형 닫집의 중심에 황룡 한마리가 아래로 머리를 내밀고 있으며, 닫집의 추녀 끝에는 풍령이 4개 달려있고, 사방으로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닫집 좌우에는 극락조와 함께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옷깃을 날리며 하늘을 날고있다...^-^
특히 닫집 옆의 대들보에는 두마리 용 밑으로 6개의 종이 달려있는 악기가 장치되어 있다...큰 불공이 있을 때 실제 사용하는 악기로 법당 뒤쪽의 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닫집에 '적멸궁(寂滅宮)' 이라 쓴 작은 편액이 걸려 있는데 이는 비로자나불의 대적광전 속의 가장 중심 궁궐이 바로 이곳이란 의미라고 한다...^-^
(요점정리) 소조 사천왕상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 121호)
소조 사천왕상은 수타사의 사문(寺門)인 봉황문에 봉안, 현종 15년(1674)에 법륜이 봉황문을 건립하고, 2년 후인 숙종 2년(1676) 여담이 사천왕상을 조성했다고 한다...^-^
4구 모두 나무로 사천왕의 기본형태를 조성한 후 새끼줄을 감고, 그 위에 진흙을 발라 상을 빚은 '소조상' 이다...^-^
동방 지국천은 보검을, 서방 광목천은 기다란 당을, 남방 증장천은 용과 여의주를, 북방 다문천은 4현 비파를 들고 있다...^-^
『월인석보』<권 17, 18>(보물 제745-5호)는 본시 수타사의 인왕문에 있는 지국천왕상의 복장에서 꺼낸 것으로 알려졌다고 소개되었는데...
그러면 봉황문의 동방 지국천왕과 인왕문의 지국천왕은 같은 것인가?...다른 것인가?...이것이 궁금하다...ㅎㅎㅎ...^-^
(요점 정리) 영산회상도(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2호)
영산회상도~ 수타사 대적광전 내 비로자나불 후불탱화로 비단 바탕에 채색하였다. 석가가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것...^-^
중앙의 석가불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옷을 걸치고 있으며 손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붉은색을 칠한 옷은 각종 무늬를 두어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사각에 가까운 얼굴, 작은 코와 입, 콧수염과 턱수염의 표현 등에서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석가에게 콧수염과 턱수염이 있다니 재미있다...ㅎㅎ...^-^
머리 꼭대기 육계는 높고 뾰족하며, 머리카락은 소라모양으로 구불구불하게 표현하고, 광배는 연꽃봉오리 모양으로 크게 나타냈으며, 대좌는 두겹의 흰 연꽃잎으로 장식...^-^
석가불의 좌우에는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이 배치되어 흰연꽃과 여의를 들고 서 있고, 그 위쪽으로 둥근 두광을 지닌 8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아래에 있는 2구씩의 사천왕상은 갑옷의 금색부분이 입체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석가불의 어깨 좌우에는 늙은 비구모습의 가섭과 청념 모습의 아난이 서 있다...^-^
아랫부분에 새긴 기록을 통해 조선 영조 38년(1762) 금어 진찰 등이 이 그림을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요점 정리) 지장십왕도(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3호)
중앙의 지장보살은 깍은 머리에 흑갑사로 된 투명한 두건을 쓰고 있으며, 손에는 기다란 석장-육환장과 보주를 들고있다.
통견형식의 옷을 입고있고 그 위에 그 위에 귀걸이, 팔지 등 장신구를 장식하였다. 광배는 녹색으로 두광과 신광을 따로 마련하였다...^-^
지장보살의 무릎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있고, 그 주변 좌우 각 5구씩 명부시왕이 배치되어 있는데 모두 관을 쓰고 홀을 들고있다...^-^
그 위에는 좌우 각 5구씩 십대보살과 좌우 각 2구씩의 사천왕상이 있다...^-^
구름 하단 부분에는 작게 그려진 각종 권속들이 있는데, 앞단-옥졸, 2단-판관, 3단-사자, 4단-동자, 천녀 등이 배열되어 있다...^-^
구름에 둘러싸인 앞쪽에 있는 인물은 작게, 위로 갈수록 인물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시선이 지장보살에게 모아진다.
70존에 달하는 각종 상이 좌우대칭으로 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다 ...^-^
하단 중앙의 화기로 조선 영조 52년(1776)에 비구 설훈 등이 그린 것을 알 수 있다...^-^
수타사 보장각(성보박물관)
월인석보(보물 제745호)와 영산회상도(강원도 유형문화재 122호), 지왕시왕도(강원도 유형문화재 123호) 등 보호...^-^
촬영한 사진은 다른 카테고리에 올립니다...ㅎㅎ...^-^
'성남문화원·문화해설사·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홍천 <공작산 산소길~ 수타사 생태숲> 탐방-74장 (0) | 2013.10.15 |
---|---|
강원도 홍천 '수타사'와 한우 인삼 축제 행사 (2013.10.11.금)-성남문화해설사 단합대회-귕소 출렁다리 등 23장 (0) | 2013.10.13 |
현종 임금님이 이경석선생에게 내려준 명품 선물 - 보물 제930호 (0) | 2013.07.04 |
성남문화해설사 2013 보수교육 - 제4강 향토사 스토리텔링기법 - 서굉일 교수 (0) | 2013.06.21 |
성남문화해설사 2013 보수교육 - 제3강 지명 유래와 설화 - 한동억 향토문화연구소장 (0) | 2013.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