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이해 : 심우도尋牛圖
참고 : 사찰 100美 100選 (상, 하)/허균 / 불교신문사
심우도 尋牛圖
심우도는 인간 본성의 회복을 목동이 소를 찾아 길들이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禪畵의 일종으로,
흔히 전각의 외벽에 장식 벽화로 그려진다.
그림에는 목동이 소를 찾는 심우의 장면으로부터 점수漸修의 과정을 거쳐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단계별로 그려져 있다.
심우도에 등장하는 소는 선 수행의 상징으로서, 그것은 법성 진여로 묘사되는 <마음의 소 心牛>를 표상하고 있다.
우리나라 심우도의 원류는 중국 송나라 때 만들어진 보명普明의<목우도송牧牛圖頌>과
곽암廓庵의 <십우도송十牛圖頌>에서 찾아진다.
조선시대까지는 이 두 가지 유형이 함께 그려졌으나, 근래에 와서는 곽암의 것이 많다.
곽암의 <십우도송>은
(송광사/화엄사 만월당의 십우도)
1) 심우尋牛 : 동자가 소를 찾기 위해 고삐를 들고 산 속을 헤매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처음 발심發心한 수행자가 아직은 선이 무엇이고 본성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지만 그것을 찾겠다는 열의로써 공부를 시작하는 단계>
2) 견적見跡 : 동자가 소 발자국을 찾는 상황을 묘사한 것
<순수한 열의를 가지고 꾸준히 공부하다 보면 본성의 자취를 어렴풋이나마 느끼게 된다는 것>
3) 견우見牛 : 동자가 멀리 있는 소를 발견하는 장면
<본성을 보는 것이 눈앞에 다다랐음을 상징>
4) 득우得牛 : 동자가 소를 막 붙잡아서 고삐를 끼고 끌고 가려는 모습을 묘사
<이 경지를 선종에서는 견성見性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을 땅 속에서 아직 다듬어지지 않은 금강석을 찾아낸 것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때의 소는 검은 색을 띤 모습인데, 아직 삼독三毒에 물들어 있는 거친 상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삼독三毒 : 탐진치貪瞋癡라는 중생의 본성을 해치는 가장 근본적인 번뇌를 독에 비유한 것.
5) 목우牧牛 : 거친 소를 자연스럽게 놓아두더라도 저절로 가야할 길을 갈 수 있게끔 길들이는 장면이다.
<삼독의 때를 지우는 단계로서 선에서는 이 목우의 과정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 상황의 소는 길들이는 정도에 따라서 검은 색이 점차 흰색으로 바뀌어 가는 모습으로 묘사>
6) 기우귀가騎牛歸家 : 동자가 소를 타고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면서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 때의 소는 완전한 흰색을 띠고 있다.
이것은 소가 동자와 일체가 되어서 피안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구멍 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깊은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본성의 소리를 의미한다.>
7) 망우존인 忘牛存人 : 집에 돌아와 보니 애써 찾은 소는 없고 자기만 남은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결국 소는 본성을 찾기 위한 방편이었으므로 이제 고향집으로 돌아오게 되었으니 방편은 잊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뗏목을 타고 피안彼岸에 도달했으면 뗏목을 버려야 한다는 교종敎宗의 가르침과 일맥 상통한다.>
8) 인우구망人牛俱忘 : 소 다음에 자신도 잃어버린 상태를 묘사한 것으로 텅빈 원상圓相만을 그리고 있다.
<객관적이었던 소를 잊었으면 주관인 동자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는 주관과 객관의 혼융 상태를 상징화한 것으로
이 경지에 이르러야만 비로소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것으로 간주된다.>
9) 반본환원返本還源 : 이제 주객의 구별이 없는 경지에 속에 자연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비치는 경지를 표현하고 있다.
<산은 산, 물은 물 그대로의 모습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지혜를 터득한 경지를 상징화한 것이다.>
10) 입전수수入廛垂手 : 동자가 지팡이에 큰 포대를 메고 사람들이 많은 곳을 향해 가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때의 큰 포대는 중생들에게 베풀어 줄 복과 덕을 담은 포대로서,
불교의 궁극적인 뜻이 중생제도에 있음을 상징화한 것이다.>
------------------------------------------------------------------------------------------------------------------------------
보명의<목우도송>은
1) 미목未木 , 2) 초조初調 , 3) 수제受制 , 4) 회수廻首 , 5) 순복馴伏
6) 무애無碍 , 7) 임운任運 , 8) 상망相忘 , 9) 독조獨照 , 10) 쌍민雙民
등 10가지 변화로 성불하는 과정으로 되어 있다.
보명의 소에 대한 관념은 원래 청정무구한 흰 소가 검은 소가 되어 있지만 정진하기에 따라서 점차 흰색을 회복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자력 수행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범어사 보제루의 외벽에 그려져 있다.
@ 범어사 보제루의 <목우도송>
3) 2) 1)
5) 4)
7) 6)
10) 9) 8)
'불교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교 상식 (0) | 2012.07.01 |
---|---|
[스크랩] 삼각산(북한산)12지신상과 의미(도선사.승가사) (0) | 2012.07.01 |
[스크랩] 국보 1호-100호까지 알아두면 유익한 전통자료 (0) | 2012.07.01 |
[스크랩] 석가모니의 생애 (0) | 2012.07.01 |
[스크랩] 불교상식과 10대 제자 (0) | 201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