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역사

[조선/북스]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경복궁 아미산 굴뚝 등 5장

[조선]66세 영조가 어린 신부를 뽑을 때 처녀에게 한 첫 질문은

조선일보 문화/북스 허윤희 기자 입력 : 2012.10.06 02:38

왕비 간택 - 전국 '공개 구혼' 형식 15~20세 양반가 처녀 무조건 사주 제출해야
후계자 생산 - 왕비의 중요한 책무 출산 이후 젖먹이나 육아는 유모가 맡아
정치 참여 - 수렴청정기 대비는 막강 권력 행사했지만 폐위 등 비극적 결말도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심재우·임민혁·이순구 등 지음|돌베개|340쪽|2만5000원

1469년 11월 28일 진시(辰時·오전 7~9시). 조선 제8대왕 예종이 즉위 1년 만에 세상을 떠났다. 재상들이 가장 먼저 달려간 곳은 예종의 어머니인 세조비 정희왕후 침소. 재상들은 다음 왕위를 이을 상주를 정해달라고 왕대비에게 청했다. 정희왕후는 예종의 원자가 아직 어리고, 예종의 형으로 이미 사망한 의경세자의 큰아들인 월산대군은 병이 있어 대통을 잇기엔 부족하다며 의경세자의 둘째아들인 자을산군을 지목한다. 그가 바로 성종. 당시 나이 13세였다. 정희왕후는 어린 성종이 스무 살이 될 때까지 8년 동안 청정(聽政)했다.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이다.

정희왕후는 원래 왕비 출신이 아니었다. 11세에 수양대군에게 시집왔다가 남편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이 되면서 37세에 극적으로 왕비가 됐다. 8년간의 청정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그녀의 집권기에 정치적 혼란이 일어나지 않았고 성종을 선택해 훌륭하게 교육시킨 것도 정희왕후의 공이라고 칭송된다.

왕의 정실부인이자 조선의 국모(國母)로서 현왕의 뒤를 이을 후계자 생산이라는 막중한 책임을 져야 했던 사람. 조선 왕비의 구중궁궐 속 삶을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 7명이 '왕비의 간택과 책봉' '아이를 낳고 기르다' '왕실 여인의 권력 참여, 수렴청정' '왕비와 왕실의 외척' 등으로 나눠 들여다봤다.

공개 구혼으로 간택

조선 왕실의 혼례는 '공개 구혼'을 통해 이뤄졌다. 전국에 광고를 내 왕비 후보 신청을 받았다. 왕비 간택령이 내려지면 전국의 15~20세 양반가 처녀들은 단자(사주팔자를 적은 종이)를 제출해야 했다. 국왕의 부인으로 떠받들어지는 자리이지만, 대다수 반가의 부모들은 왕을 사위로 맞아들이길 원치 않았다. 인조 때는 딸을 숨기려다 발각된 전·현직 관료들을 잡아다가 추문했다.

정종미의 2008년 작‘명성황후’(부분). 붉게 물들인 모시를 캔버스에 부착시켜 바탕을 만들고, 천연 염료로 물들인 한지로 명성황후를 만들어 붙인 작품이다. /정종미 제공
보통 왕대비와 대왕대비가 간택을 맡지만, 왕이 직접 간택한 경우도 있다. 영조는 66세에 어린 신부를 계비로 맞으면서 처녀 후보들에게 직접 질문을 던졌다. "세상에서 가장 깊은 것이 무엇이냐." 다른 후보들은 산이나 물이라고 답했지만 15세 처녀는 "인심(人心)이 가장 깊다"고 답한다. "가장 아름다운 꽃이 무어냐"는 질문에는 "목화꽃"이라 답했다. "비록 멋과 향기는 빼어나지 않으나 실을 짜 백성을 따뜻하게 해주는 꽃이니 가장 아름답다"는 말에 감복한 영조는 그녀를 왕비로 간택했다. 정순왕후다.

왕비의 역할은 출산까지

왕비에게 가장 중요한 책무는 왕통을 이을 후계자 생산. 하지만 막상 아이가 태어나면 왕비의 역할은 확 줄었다. 왕비의 역할은 출산까지이고, 수유와 육아는 유모가 맡았다. 왕실 아이들은 길게는 10세, 적어도 5~6세까지는 젖을 먹었다. 정조 10년(1786) 문효세자가 다섯 살 나이에 홍역을 앓다가 죽자 신하들이 "젖을 너무 일찍 끊어 기초 체력이 허약한 탓"이라 했다.

왕비는 간택을 받기 전까지는 평범한 양반가의 딸로 살다가 궁궐에 들어오기 때문에 간택 이전의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간택 이후에도 왕비의 궁중 생활을 기록한 자료는 드물다. 궁중 문학 작품이나 궁중 여성이 직접 작성한 한글 편지가 특히 귀한 이유다.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는 시아버지 영조에게 처음으로 들었던 훈계 내용까지 '한중록'에 꼼꼼히 기록했다. "세자 섬길 제 부드러이 섬기고 목소리나 얼굴빛을 가벼이 말고(중략) 여편네 속옷 바람으로 남편네를 뵐 것이 아니니 네 세자 보는 데 옷을 마음대로 헤쳐 보이지 말고…."

조선 말기에 황후가 신었던 대례용 신발. /돌베개 제공
직접 정치는 제한됐어도 정치력은 필수

왕비는 공식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기회는 적었지만 외척을 동원하거나 수렴청정 등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조선시대 수렴청정은 성종·명종·선조·순조·헌종·철종·고종대에 6명의 대비에 의해 총 7차례 시행됐다. 순조비인 순원왕후 김씨는 헌종대에 7년, 철종대에 3년간, 두 번의 수렴청정을 했다. 수렴청정기의 대비는 '여주(女主)', 즉 여자 군주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이 끝나고 나서도 남동생 윤원형과 함께 정사에 계속 관여했던 것으로 악명 높다.

정치적 풍랑에 휩쓸려 비극적 삶을 살다간 왕비들도 있다. 중종의 비 단경왕후는 중종반정이 성공하면서 왕비의 자리에 올랐지만 불과 며칠 만에 반정 세력에 의해 폐위됐다. 연산군의 어머니인 폐비 윤씨는 왕비로 책봉된 지 3년 만에 시어머니인 인수대비와의 불화로 사약을 받았다.

 
그밖에 후궁과 궁녀 등 궁중 여성들과 왕비의 관계, 왕과 왕비의 첫날밤 등 왕실의 내밀한 속살 이야기가 흥미롭다. 자료의 한계 탓이겠지만 '왕비의 하루 엿보기'식의 궁궐 일상은 복원하지 못해 책장을 덮어도 궁금증은 남는다.

 

 

우쭈쭈쭈수렴청정은 성종·명종·선조·순조·헌종·철종·고종대에 6명의 대비에 의해 총 7차례 시행됐다. 순조비인 순원왕후 김씨는 헌종대에 7년, 철종대에 3년간, 두 번의 수렴청정을 했다. 수렴청정기의 대비는 '여주(女主)', 즉 여자 군주라고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중종의 계비이자 명종의 어머니 문정왕후는 수렴청정이 끝나고 나서도 남동생 윤원형과 함께 정사에 계속 관여했던 것으로 악명 높다.

 

왕이 직접 간택한 경우도 있다. 영조는 66세에 어린 신부를 계비로 맞으면서 처녀 후보들에게 직접 질문을 던졌다. "세상에서 가장 깊은 것이 무엇이냐." 다른 후보들은 산이나 물이라고 답했지만 15세 처녀는 "인심(人心)이 가장 깊다"고 답한다. "가장 아름다운 꽃이 무어냐"는 질문에는 "목화꽃"이라 답했다. "비록 멋과 향기는 빼어나지 않으나 실을 짜 백성을 따뜻하게 해주는 꽃이니 가장 아름답다"는 말에 감복한 영조는 그녀를 왕비로 간택했다. 정순왕후다.

 

 

- 2012년 10월7일 일요일 오전 11시20분...명성왕후 사진 보고 블로그에 올리다... 수산나 -


 

 경복궁 아미산 굴뚝 1

 

 경복궁 아미산 굴뚝 2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景福宮峨嵋山-)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이다.

 

 

교태전은 왕비의 중궁전(中宮殿)으로 태조 3년(1394년)에 창건되었다. 그 후 명종 8년(1553년)에 소실되어 1555년에 재건되었으며, 선조 25년(1592년) 임진왜란으로 다시 소실되어 고종 4년(1867년)에 재건되었다. 이후 고종 13년(1876년) 또 다시 소실되었고 고종 25년(1888년)에 복구되었다. 원래의 교태전은 일제강점기인 1918년 창덕궁으로 옮겨 현재의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이 되었고, 현재의 교태전은 최근에 복원한 것이지만, 굴뚝은 고종 당시 경복궁을 재건할 때의 것이다.

 

아미산은 교태전 일곽 뒤뜰에 경회루의 연못을 판 흙을 쌓아 만든 작은 산(假山)이다. 아미산에는 두벌대의 장대석 석축이 네 층으로 쌓였고, 그 위에 괴상하게 생긴 돌을 담은 석분(石盆)과 물을 담는 돌그릇(石池) 등 석조물이 배치되었는데, 수석 1기는 1단에, 석분·석지는 1단·2단·3단에 있고, 굴뚝은 3단에 있다. 굴뚝 3기는 3단에 나란히 있고, 나머지 한 기는 동쪽 조금 뒤편에 있으며, 주위에는 화초들이 심어져 후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4기의 육각형 평면을 한 굴뚝들이다. 굴뚝들은 화강석 지대석 위에 벽돌로 30단 또는 31단으로 쌓였고, 육각의 각 면에는 당초무늬··박쥐·봉황·나티·소나무·매화·대나무·국화·불로초·바위··사슴·나비·해태·불가사리 등의 무늬가 조화롭게 배치되었다. 각 무늬는 조형전(造形塼)을 구워 배열하였고, 그 사이에는 회(灰)를 발라 화면을 구성하였다.

 

육각의 각 면은 네 가지 종류의 무늬로 구성되었는데, 굴뚝 제일 아랫부분은 벽사상으로 불가사리를 부조한 사각형의 벽돌을 끼웠고, 그 위의 직사각형 회벽에 십장생·사군자 또는 만자문(卍字文)을 조각했으며, 그 위에 다시 봉황귀면 등이 부조된 네모 반듯한 벽돌을 끼웠고, 윗부분은 회벽에 당초문(唐草文)으로 구성하였다.

이들 무늬 위로는 목조 건축물의 소로와 창방·첨차 형태로 만든 벽돌을 쌓고 기와지붕을 이었으며, 정상부에는 점토로 만든 연가(煙家)를 각 4기씩 두어 연기가 빠지도록 하였다. 기능은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이지만, 그 형태나 위치가 정원과 어우러져 뛰어난 조형미를 이루고 있다.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
대한민국보물
Korea-Gyeongbokgung-Amisan-01.jpg
지정번호 보물 제811호
(1985년 1월 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
제작시기 조선 태조 3년, 고종 4년 (추정)

 

경복궁 선장문 굴뚝

 

경복궁 선장문과  굴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