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란도란 수원e야기 블로거들의 팸투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가 된 사적 제206호인 ‘화성 융릉과 건릉’은 화성시 안녕동 산 1-1에 소재한다.
융릉은 후에 장조로 추존된 장헌세자(사도세자)와, 역시 사후에 헌경의황후로 추존된 그의 비 혜경궁 홍씨의 합장 능이다.
이 융릉은 합장릉이면서도 혼유석은 하나이다. 후에 의황제로 추존한 장헌세자의 능인 융릉은, 세자의 묘인 원의 형식에 병풍석을 설치하고, 상, 하계 공간으로 나누어 공간을 왕릉처럼 조영한 능이다.
융릉은 조선 후기의 묘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가장 아름다운 능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병풍석을 설치하였으나 난간석이 없으며, 병풍석 덮개의 12방위 연꽃 형의 조각은 융릉만의 독특한 형식이다. 장명등의 8면에 조각된 매난국의 무늬는 매우 아름답다.
융건릉으로 들어가는 숲길과 곤신지(우)
이장과 명칭이 바뀐 융릉
1762년 윤 5월 21일 아버지 영조의 명으로 뒤주 속에 갇혀 숨진 장헌세자는, 그해 7월 23일 현재의 동대문구 휘경동인 양주 배봉산 아래의 언덕에 안장되었다. 아들을 죽인 것을 후회한 영조는 세자의 죽음을 애도한다는 뜻에서, ‘사도’라는 시호를 내리고, 묘호를 ‘수은묘’라고 하였다.
1776년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가 즉위하자, 아버지인 사도세자에게 ‘장헌’이라는 시호를 올리고, 수은묘를 원으로 격상시켜 ‘영우원’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정조 13년인 1789년에는 무덤을 화성시 안녕동의 현재 위치로 옮기고 ‘현륭원’이라 하였다. 그 뒤 순조 15년인 1815년 12월 15일에는 혜경궁 홍씨가 춘추 81세로 승하하자, 순조 16년인 1816년 3월 3일 현륭원에 합장하였다.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지 3년이 되는 광무 3년인 1899년 11월 12일, 장헌세자를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장종으로 올렸기에 ‘융릉’이라고 능호를 정하였으며, 곧이어 12월 19일에는 황제로 추존하여 ‘장조 의황제’라 하였으며, 혜경궁 홍씨도 ‘헌경의황후’로 추존 되었다.
뛰어난 융릉의 석물과 곤신지
지난 11월 10일(토), 융건릉을 찾아 나섰다. 융건릉을 다 돌아보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융릉의 석물을 보면서, 억울한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를 기억해 내고 싶어서였다. 입구에서부터 융릉으로 들어가는 숲은 가을이 내려 앉아있었다. 발밑에서는 낙엽이 밟히는 소리가 정겹다. 누군가 가을은 발밑에서 온다고 했던가.
숲을 벗어나면 곤신지가 나타난다. 곤신지는 원형 연못으로 융릉이 천장된 이듬해인 1790년에 조성이 된 연못이다.
곤신지는 융릉의 남서방향을 뜻하는 ‘곤신방’에 조성을 한 연못으로, 묘지에서 처음 보인다는 물을 뜻하는 ‘생방’으로, 이곳이 길지이기에 조성을 했다고 한다.
원형의 곤신지에도 가을이 내려 앉아 있었다. 그 모습을 보면서 천천히 융릉으로 향한다. 융릉은 원래 양주의 배봉산에 있던 영우원을, 수원의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하였다. 합장 릉인 융릉은 병풍석을 세우고 모란과 연꽃무늬를 새겼다. 석등은 전기의 8각형과 숙종, 영조 대에 등장한 4각형 석등의 양식을 합한 새로운 양식이다.
융릉 앞에 조성한 석인도 사실적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예전에 가슴까지 숙여진 머리가 들려 있어 시원한 분위기를 낸다. 효성이 깊은 정조는 현륭원을 마련할 때, 당대의 최고 석공들을 데려다가 정성을 기울여 창의적으로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융릉 전경과 판위 위에 올라서 해설을 하는 해설사(우)
위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정자각, 비각, 융릉을 보고 설명을 하는 e수원뉴스 김우영주간과 제대로 볼 수 없는 융릉
초장부터 뒤틀리기 시작한 심사
이번 답사는 ‘도란도란 수원e야기’의 블로거들과 동행을 한 답사였다. 그런데 곤신지를 지나 융릉의 홍살문 앞으로 들어서면서부터 심사가 영 불편하다. 홍살문 옆에는 ‘판위’라고 하는 조형물이 있다. 네모나게 조성을 한 판위는 임금이 능에 제사를 올리려고 찾아왔을 때, 능을 바라보고 절을 하던 곳이다.
판위 앞에는 한 무리의 학생인 듯한 사람들이 서 있다. 문화재를 해설하는 분인지 학생을 인솔하고 온 선생님인지는 모르겠지만, 판위에 올라서서 해설을 하고 있다. 적어도 남들에게 문화재를 안내하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판위 위에 올라서서 해설을 할 수 있을까? 이 분 제대로 문화재 해설을 할 수 있는 소양은 갖추었는지 궁금하다.
석물 보러 갔다가 숲만 보고 왔지요
정자각을 돌아본 후 비각으로 향했다.
비문 등을 자세히 살펴보고 능으로 올라 석물을 보려고 마음을 먹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능으로 오르는 것을 금지시킨다는 푯말이 붙어있다. 물론 출입통제를 하는 목책 울타리도 쳐놓았다. 어이가 없다. 조선 후기 가장 뛰어나게 조성을 했다는 융릉의 병풍석 등을 보러왔는데, 먼발치에서만 보아야 하다니.
반드시 봐야 할, 그러나 볼 수 없는 융릉의 병풍석(사진은 문화재청 자료)
그것도 능이 높아 윗부분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처음부터 뒤틀린 심사가 급기야 울화로 변한다. 물론 문화재보호를 위해 출입을 통제시키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하지만 능 근처에도 들어가 볼 수가 없게 만들다니. 여주 세종대왕 능에도 관람을 할 수 있는 관람통로를 내놓았다. 그렇다고 문화재가 훼손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지키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참으로 어이가 없다. 보호란 무조건 사람들이 근접하지 못하게 만들어야한다는 발상 자체가 이해가 가질 않는다. 결국 융릉을 먼발치에서, 능위로 보이는 것만 보고 온 셈이다. 융릉을 보러갔다가 가을이 깊은 숲만 보고 왔다. 바람에 날려 땅을 구르는 낙엽처럼, 씁쓸한 마음만을 안고.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아버지인 사도세자에게 ‘장헌’이라는 시호를 올리고, 수은묘를 원으로 격상시켜 ‘영우원’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정조 13년인 1789년에는 무덤을 화성시 안녕동의 현재 위치로 옮기고 ‘현륭원’이라 하였다. 그 뒤 순조 15년인 1815년 12월 15일에는 혜경궁 홍씨가 춘추 81세로 승하하자, 순조 16년인 1816년 3월 3일 현륭원에 합장하였다.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지 3년이 되는 광무 3년인 1899년 11월 12일, 장헌세자를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장종으로 올렸기에 ‘융릉’이라고 능호를 정하였으며, 곧이어 12월 19일에는 황제로 추존하여 ‘장조 의황제’라 하였으며, 혜경궁 홍씨도 ‘헌경의황후’로 추존 되었다
****사후 계속 격이 올라가시는 분...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ㅎㅎㅎ...^-^
화성 융건릉 입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비..."조선왕릉 세계유산"- 등재일: 2009년 6월30일...^-^
융릉 건릉 안내문
'한국 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을사늑약(2013.3.15.금.)/ 을사늑약관련 사진 4장 (0) | 2013.03.15 |
---|---|
400년간 종로에 감춰졌던 조선 최대 용그림/경복궁 근정전 1장 (0) | 2013.02.20 |
4대 사화-무오사화,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정릉 태릉 봉은사 등 9장 (0) | 2013.01.14 |
동아[횡설수설/정성희]이조전랑/덕수궁 중화전 품계석 등 5장 (0) | 2013.01.11 |
한국역사 연표(한국사 민족사) (0) | 2013.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