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앙 오피니언

중앙[노재현 칼럼] '하면 된다' 시대의 종언(2014.7.24.목)/영월 장릉 3장

 

[노재현 칼럼] '하면 된다' 시대의 종언

[중앙일보] 입력 2014.07.23 00:34 / 수정 2014.07.23 00:50

노재현
중앙북스 대표
며칠 전 재미있는 신문기사를 보았다. 꾸준히 노력하면 누구든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1만 시간의 법칙’이 실은 틀린 이야기라는 것이다(본지 7월 17일자). 1만 시간 노력하려면 하루 3시간, 일주일 20시간씩 총 10년이 걸린다. 그러나 미국 연구팀이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많은 분야에서 타고난 재능이 노력보다 훨씬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고 기사는 전한다. 음악에서는 재능 79%, 노력 21%고 스포츠는 재능 82%, 노력 18%였다. 학술 분야는 더 심해서 96대 4 비율이었다. 공부하는 머리는 타고난다는 얘기가 맞는가 보다. 어제 정상급 피아니스트 손열음씨를 만난 김에 “음악에서 재능이 79%, 노력 21%라는 게 맞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런 것 같다”며 “재능을 드러낼 기회가 훨씬 적었던 옛날에는 아마 90% 정도로 비중이 더 높았을 것”이라고 답했다.

 “천재는 1%의 영감(靈感)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에디슨의 명언도 사실은 ‘99%의 노력도 단 1%의 영감 없이는 소용없다’는 뜻이라고 한다. 타고난 재능이 그토록 결정적이라면 우리 같은 범인(凡人)들 입장에선 맥이 풀릴 수밖에 없다. 노력하면 뭐하나. 이미 날 때부터 유전자에 성공 여부가 새겨져 있다는데 말이다. 이달 초 도쿄 국제도서전에 갔다가 사 온 신간 한 권이 이런 인간불평등 기원론(?)을 부추겼다. 제목은 『노력불요론(努力不要論)』. 의학박사이자 뇌과학자인 나카노 노부코가 쓴 책으로, 제목 그대로 ‘쓸데없이 노력할 필요 없다’는 내용이다. 자기 주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무작정 노력부터 하고 보는 ‘노력 중독자’는 남에게 이용만 당하거나 피해를 끼치기 십상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인은 특히 ‘노력신앙’을 가진 ‘노력교(敎)’ 신자가 많아 큰일이라고 걱정한다. 제2차 세계대전에 뛰어들어 패한 것도 대책 없이 노력과 정신력만 강조하던 지도자들 때문이라고 일갈한다.

 식민지와 전쟁의 폐허를 딛고 60년 넘게 줄달음쳐 온 우리나라도 노력 숭배주의라면 지구상 어느 나라 못지않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책상 머리에 ‘노력 끝에 성공’ ‘노력은 성공의 어머니’를 붙여 놓았으며, 좀 커서 한자라도 배우면 ‘苦盡甘來(고진감래)’로 글귀를 바꿔 달았다. 노력신앙의 단짝은 결과지상주의였다. 겨울철 유엔군 묘지에 보리를 옮겨 심어 파란 잔디처럼 보이게 했다는 기업인의 임기응변이 자랑스러운 신화로 기록되었다. ‘하면 된다’의 시대였다. ‘안 되면 되게 하라’가 특전사 병영을 넘어 사회 구석구석까지 울려 퍼졌다.

 이미 젊은이들은 속지 않는다. 노력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노력 이외의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너무 잘 아는 듯해 걱정될 정도다. 사회가 그렇게 변했다. 고도성장은 끝났고 당대 성공신화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서울에서 내 집은 고사하고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도 6년치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한다. 국민의 57.9%가 ‘일생 동안 노력해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다(통계청, 2013년 사회조사). 사회 역동성, 계층 상승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니 젊은이들이 소개팅에서 상대 부모의 직업과 사는 동네부터 묻는다는 슬픈 이야기가 나돈다. 이제 평강공주는 온달을 찾지 않고, 왕자는 신데렐라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기성세대가 ‘하면 된다’ 시대의 관점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할 시점인 것 같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표만 이루면 된다는 결과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원칙과 상식을 앞세우는 시대로 진입해야 한다. 나는 박근혜 대통령이 말한 ‘비정상의 정상화’도 이런 사고의 틀 전환을 전제로 한 것이길 바란다. 빨리빨리와 대충대충을 버리고, 잔뜩 힘준 어깨를 눅이고 눈에 서린 핏발은 풀고, 무리하게 앞지르거나 끼어들지 않는, 상식이 통하는 사회 말이다. 더뎌도 차근차근 나아가는, 무엇보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회로의 대전환이다. 비록 짜릿한 성공담과 기막힌 반전은 적을지라도 한 차례 애를 쓰면 딱 그만큼 결과가 나오는 게 일반적인 풍경이었으면 좋겠다. 결과에만 목을 매 무리와 편법·탈법, 집단 간 유착이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사회와는 이별해야 한다. 원래 안 되는 것은 누가 해도 안 되고, 억지로 되게 하려다간 도리어 된통 당해야 마땅하다.

 정당한 노력이라면 왜 쓸모가 없겠는가. 자기 파악 못 하고 남 배려 안 하고 잇속에 눈이 멀어 무리를 범하니 언젠가는 사달이 나는 것이다. 우리는 하면 된다는 낡은 신화에 안주하다가 밀렸던 청구서가 쏟아지는 시점에 처해 있다. 그 와중에 가엾은 아이들만 희생된 듯해서 마음이 아프다. 내일은 세월호 참사 100일째다.

노재현 중앙북스 대표

 

['하면된다' 시대의 종언]

 

며칠 전 재미있는 신문기사를 보았다. 꾸준히 노력하면 누구든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1만 시간의 법칙’이 실은 틀린 이야기라는 것이다(본지 7월 17일자).

 

『노력불요론(努力不要論)』. 의학박사이자 뇌과학자인 나카노 노부코가 쓴 책으로, 제목 그대로 ‘쓸데없이 노력할 필요 없다’는 내용이다. 자기 주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무작정 노력부터 하고 보는 ‘노력 중독자’는 남에게 이용만 당하거나 피해를 끼치기 십상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인은 특히 ‘노력신앙’을 가진 ‘노력교(敎)’ 신자가 많아 큰일이라고 걱정한다.

 

노력신앙의 단짝은 결과지상주의였다. 겨울철 유엔군 묘지에 보리를 옮겨 심어 파란 잔디처럼 보이게 했다는 기업인의 임기응변이 자랑스러운 신화로 기록되었다. ‘하면 된다’의 시대였다. ‘안 되면 되게 하라’가 특전사 병영을 넘어 사회 구석구석까지 울려 퍼졌다.

 

사회 역동성, 계층 상승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니 젊은이들이 소개팅에서 상대 부모의 직업과 사는 동네부터 묻는다는 슬픈 이야기가 나돈다. 이제 평강공주는 온달을 찾지 않고, 왕자는 신데렐라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기성세대가 ‘하면 된다’ 시대의 관점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할 시점인 것 같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표만 이루면 된다는 결과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원칙과 상식을 앞세우는 시대로 진입해야 한다.  더뎌도 차근차근 나아가는, 무엇보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회로의 대전환이다.

 

 no2☞ 사회 역동성, 계층 상승 가능성이 있었던 옛날이 좋았다는 생각이 든다...ㅠㅠ...^-^

기성세대가 '하면 된다' 시대의 관점에서 벗어나 발상의 전환을 할 시점이라고 한다....ㅜㅜ...^-^

원칙과 상식대로 정당한 절차를 밟아 꾸준히 노력하면 살만한 그런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ㅜㅜ...^-^

 

- 2014년 7월24일 목요일...수산나 -

 

 

영월 장릉 입구

 

영월 장릉 ...관광안내소

 

영월 장릉...단종역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