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9] 일본의 총
조선일보/오피니언/주경철 서울대교수 서양근대사
입력 : 2010.07.30 23:12
일본은 기술적 요소만이 아니라 총의 사용 방식도 창의적으로 개발했다. 초기의 총은 다루기 어려운 물건으로 악명이 높았다. 탄환을 장전하여 발사하기까지 28단계의 조작을 해야 했으니 우선 그 자체가 아주 힘든 일이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다. 총이 많이 개량된 16세기에도 여전히 한 발을 발사하기까지 몇 분이 소요되었다. 사정이 이러니 총을 발사한 이후 다시 장전하는 동안 적이 돌격해 오면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한 일이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해결책이 소위 연속발사 방식이었다. 사수들이 열을 지어 앞줄의 사수들이 발사하고 나면 그동안 장전을 마친 다음 줄이 발사하고 다시 그 다음 줄이 발사하는 식이었다. 1575년 5월 21일의 나가시노 전투에서는 극도로 발전한 연속발사 방식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했다. 이때 오다 노부나가 부대는 조총 사수들을 23열로 세워서 빠른 속도로 쏘게 함으로써 20초마다 1000발의 발사가 가능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런 정도의 화력이면 일본 군대가 당대 세계 최강의 부대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10여년 뒤 발발한 임진왜란에서 조선은 세계 최강의 화력을 갖춘 막강한 군대와 대적한 것이다. 소총수들과 사무라이의 복합 군대인 일본군의 군사력에 대해서 역사가들의 평가는 일부 엇갈리지만, 동아시아 세계 질서를 크게 뒤흔들어 놓은 엄청난 세력인 것은 분명하다. 근대 초 일본의 기술 발전과 응용도 대단한 일이지만, 그런 강력한 왜군의 침입에 대해 의병과 승병 조직까지 나서서 결국 격퇴해 낸 우리 조상의 힘과 의지 역시 다시 새겨볼 점이다.
일본의 총...1542~43년에 포르투갈 모험가인 핀투라는 인물에 의해 서양식 총기를 전해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의 총은 탄환을 장전하여 발사하기까지 28단계의 조작을 해야 했으니 우선 그 자체가 아주 힘든 일이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다...^-^
1575년 5월 21일의 나가시노 전투에서는 극도로 발전한 연속발사 방식이 엄청난 위력을 발휘했다. 이때 오다 노부나가 부대는 조총 사수들을 23열로 세워서 빠른 속도로 쏘게 하였다...^-^
그렇다면 10여년 뒤 발발한 임진왜란에서 조선은 세계 최강의 화력을 갖춘 막강한 군대와 대적한 것이다.
- 2013년 2월6일 수요일...수산나 -
임진왜란 [壬辰倭亂]조선 역사 브리태니커
1592(선조 25)~98년에 2차례에 걸쳐 일본이 조선을 침입하여 일어난 난리(→ 색인 : 한국사).
조선에 쳐들어온 일본군을 조선과 명(明)나라의 군사가 연합하여 물리친 전면적인 국제전쟁이었다.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1597년의 제2차 침략으로 일어난 전쟁만을 따로 언급할 때는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고 부른다. 그외 임진왜란을 일본에서는 '분로쿠[文祿]·게이초[慶長]의 역(役)', 중국에서는 '만력(萬曆)의 역'이라고 한다.
아산 현충사 본전 1
아산 현충사 본전 2
아산 현충사 본전에서 바라다 본 풍경
이충무공 영정
아산 현충사 본전 안내문
'조선[주경철 히스토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71] 소년십자군/합천 해인사...팔만대장경을 보관 중인 장경판전 입구 3장 (0) | 2013.02.13 |
---|---|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70] 이혼/결혼식 3장 (0) | 2013.02.08 |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8] 중국의 총/수원 화성 북서적대 3장 (0) | 2013.02.04 |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7] 인류의 진화와 歌舞/안성 남사당 공연장 등 3장 (0) | 2013.02.03 |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66] 바스티유 함락/신해박해와 명례방집회화 1장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