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현문화의집·성남학아카데미

성남학아카데미 영월지역 현장답사(2014.7.10.목) <장릉>-71장

 

 

장릉 입구...단종역사관과 재실...

 

 장릉- 재실 1

 

장릉 - 재실 2

 

장릉 - 재실 3

 

장릉 - 재실 4...안내문

"재싱 건물의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1932년에 중건...는을 지키는 창봉 1인과 수호군 9인이 기거...

매년 단종제향을 지낼 때 제물을 준비하고 제기를 비롯한 각종 사용 기구를 보관해오던 곳 이다."

 

장릉 - 재실 5...재실을 뒤로하고, 이동하는 답사회원...

 

장릉- 엄흥도 정려각 1

 

장릉- 엄흥도 정려각 2

 

장릉- 엄흥도 정려각 3...안내문

"이 비각은 엄흥도의 충절을 알리기 후세에 알리기 위해 영조 2년(1726)에 세운것...

충신 엄흥도가 영월호장으로 있을 때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 유배되어 관풍헌에서 1457년 10월24일 조정에서 내려진 사약을 승하하여

그 옥체가 강물에 버려지자 단종의 시신을 거두는 자는 삼족을 멸한다는 어명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함께 단종의 시신을 암장하여 충신으로 추안받고 있다.

순조 33년(1833)에 공조판서로 추증되었고 고종 13년(1876)에 충의공이란 시호를 받았다.

 

장릉-이정표

 

장릉- '장릉의 유래' 알림석

 

장릉은 조선 6대 임금인 단종(1441~1447)의 능이다. 단종의 이름은 '홍위'이며, 문종의 아들로 세종23년(1441) 7월23일에 탄생하였다.

세종 30년(1448)에 왕세손, 그리고 1450년 7월20일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그후 부왕인 문종이 재위 2년만에 승하하자 그 뒤를 이어

12세의 어린 나이로 1452년 5월18일 경복궁에서 즉위하였다.

단종 원년인 1453년 숙부인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국권을 장악하고 단종을 위협하자 단종 3년(1455)에 상왕으로 물러났다.

세조 2년(1456) 사육신의 단종복위운동이 실패하자 그 사건에 연루되었다 하여 노산군으로 강봉된채 영월 청령포로 유배되었다.

1457년 경상도 순흥에 유배되었던 금성대군 유(瑜)가 단종을 복위하려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세조는 1457년 10월2일 단종에게 사약을 내리니 17세의 어린 나이로 승하하였다.

 

이때 영월 호장 엄흥도가 단종의 시신을 거두어 동을지산(冬乙旨山)인 이곳에 몰래 매장하였다.

그 후 숙종 7년(1681)에 대군으로 추봉되고, 숙종 24년(1698)에 복위되어 묘호를 단종(端宗)으로 능을 장릉(莊陵)이라 하였다.

장릉은 간소한 후능석물(厚陵石物)양식이며 다른 왕릉과 달리 단종대왕에게 충절을 바친 신하들의 위판을 배향한 배식단사와 충신단, 정려각이 있다.

 

장릉

 

장릉 장판옥 1

 

장릉 장판옥 2...안내문

 

이 건물은 정조 15년(1791)에 건립한 것으로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충신위 32인, 조사위 186인, 환자군노 44인, 여인위 6인을 합하여 268인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장릉 장판옥 3

 

장릉 장판옥 4...충신위 32인 위패

 

충신위(忠臣位)는 안평대군(安平大君), 금성대군(錦城大君), 화의군(和議君), 한남군(漢南君), 영풍군(永豊君)을 비롯하여 중추원부사 이양(李穰), 예조판서 권자신(權自愼), 병조판서 및 팔도도진무(八道都鎭撫) 정효전(鄭孝全). 의정부영양위 정종(鄭琮), 영돈령부사 송현수(宋玹壽․단종의 장인), 돈녕부판관 권완(權完), 영의정 황보인(皇甫仁), 좌의정 김종서(金宗瑞), 사육신(死六臣) 등 단종과 관련하여 죽음을 당한 32인의 위패를 모신 곳이 충신단(忠臣壇)

 

장릉 장판옥 5...어제장릉배식단 충신위 축문

 

장릉 장판옥 6...여인위 6인과 환자군노 44인 위패

 

여인위(女人位), 환관위(宦官位)는 끝까지 단종(端宗)을 따르다가 죽어간 시녀와 환관노복들을 합동으로 봉안한 제단이다.

 

장릉 장판옥 7...조사위 186인 위패

 

 안평대군의 아들 우직(友直)과 우량(友諒), 영의정황보인의 아들 황보석(皇甫錫), 황보흠(皇甫欽), 김종서의 아들 승벽(承壁), 승규(承珪)등 충신들의 직계 비존속들 중에서 정란(靖 難)에 의하여 죽음을 당한 사람들 186인의 위패를 모신곳이 조사단(朝士檀)

 

장릉 -배식단

 

장릉 -배식단...안내문

 

이곳은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충신위(33인), 조사위(186인), 환자군노위(44인), 여인위(6인)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매년 단종제향을 올린 후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장릉- 홍살문, 신도/왕도, 수복실, 정자각, 영천, 수라간 등...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신도와 왕도'가 직선으로 이어지는 조선왕릉과 다르게...정자각이 홍살문에서 우측으로 90도 꺽인 지점에 있다..."

 

장릉- 홍살문

 

장릉- 수복실

이 건물은 능과 경내를 관리하는 능지기가 기거하던 곳으로 영조 9년(1733)에 정자각과 함께 세운 것이다.

 

장릉- 수복실...안내문

 

장릉- 정자각과 단종비각

 

장릉- 배위, 신도와 왕도

 

장릉- 신도와 왕도 1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신도/왕도'가 직선으로 이어지는 조선왕릉과 다르게...우측으로 90도 꺽여서 정자각이 있다..."

 

장릉- 신도와 왕도 2

 

"홍살문에서 시작한 신도와 왕도가 90도 꺽여서 정자각으로 이어진다...올라간 길이 신도, 내려간 길이 왕도 입니다...ㅎㅎ..."

 

장릉 단종비각 1

 

영조9년(1733)에 어명으로 단종대왕릉비와 비각이 정자각, 수복실과 함께 건립되었다.

비석 앞면에는 『조선국단종대왕장릉』이라는 글이 음각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단종대왕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다.

 

장릉 단종비각 2...안내문

 

장릉 단종비각 3...비석.

 

비석 앞면에는 『조선국단종대왕장릉』이라는 글이 음각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단종대왕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다.

 

장릉- 정자각 1

 

이 건물은 영조9년(1733)에 건립하였으며 단종대왕 제향시 제를 올리는 곳으로, 집의 모양이 정(丁)자 모양으로 건립된 제전이므로 정자각 또는 배위청이라 한다.

 

장릉- 정자각 2

 

장릉- 정자각 3...안내문

 

장릉- 정자각 4...내부

 

장릉 - 망료위, 수라간, 영천

 

장릉- 망료위

 

장릉- 단종비각, 수복실, 홍살문, 배식단

 

장릉...구슬붕이...용담과 식물 입니다...ㅎㅎ...^-^

 

장릉-수라간과 정자각

 

장릉- 영천 1

 

이 영천은 장릉 서쪽에 있는 우물로써 정조15년(1791)에 어명으로 영월부사 박기정이 수축하여 한식 때 제정으로 사용하였다.

보통 때는 조금씩 샘물이 솟았으나 제향을 지낼때에는 물이 많이 용출하였다.

우물의 깊이는 1.5m이며 하부는 화강석 돌담으로 둥글게 쌓여 있고 상부는 정방형이다.

 

장릉- 영천 2...안내문

 

 장릉- 영천 3...표지석

 

 장릉- 영천 4

우물의 깊이는 1.5m이며 하부는 화강석 돌담으로 둥글게 쌓여 있고 상부는 정방형이다.

 

 장릉- 영천 5...동전이 담겨있네요...ㅎㅎ...^-^

 

우물의 깊이는 1.5m이며 하부는 화강석 돌담으로 둥글게 쌓여 있고 상부는 정방형이다.

 

장릉- 영천 옆 보호수... 수령 381년 느릎나무 1

 

장릉- 영천 옆 보호수... 수령 381년 느릎나무 2

 

장릉- 영천 옆 보호수... 수령 381년 느릎나무 3...

 

장릉- 영천 옆 보호수... 수령 381년 느릎나무 4...안내문

 

장릉-장판옥, 홍살문, 수복실, 단종비각

 

장릉- 정자각과 그 위의 단종 능침.....정자각 아래의 길 '신도/왕도'.....

 

장릉- 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이정표

 

장릉...이정표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1.... 주변 풍경...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2... 내려다 본 정자각 일부와 수라간, 영천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3... 내려다 본 정자각 일부와 수라간, 영천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4...내려다 본 영천과 수령 381년 보호수 느릎나무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4...정령송...

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인 남양주의 사릉에서 옮겨 심은 소나무랍니다.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5...정령송...단종의 비 정순왕후의 능인 사릉에서 옮겨 심은 나무

 

장릉-단종능으로 올라가는 길 6...정령송 표지석...사릉에서 이전 식수...

남양주의 사릉... 정순왕후의 능...^-^

 

장릉- 단종능 1...전경...

 

장릉- 단종능 2...유래

 

중종11년(1516) 노산묘를 찾으라는 왕명이 있었고 중종36년(1541) 당시 영월군수 박충원의 현몽에 따라 노산묘를 찾고 수축봉제 하였다.

숙종24년(1698)에 추복하여 묘호를 단종으로 하고 능호를 장릉이라 하였다. 단종이 승하하신지 241년만에 왕실의 정례를 되찾게 되었다.

 

능상의 석물들은 추복릉의 전례에 따라 후릉의 예를 본받아 행하라는 교지에 의하여 봉분주위에 석호와 석양이 각각 1쌍씩 있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과 사각옥형의 장명등이 있으며 능 양쪽에는 망주석 2기와 문인석 2기, 석마 1쌍이 있고 무인석은 없다.

 

장릉- 단종능 3

 

능상의 석물들은 추복릉의 전례에 따라 후릉의 예를 본받아 행하라는 교지에 의하여 봉분주위에 석호와 석양이 각각 1쌍씩 있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과 사각옥형의 장명등이 있으며 능 양쪽에는 망주석 2기와 문인석 2기, 석마 1쌍이 있고 무인석은 없다.

 

장릉- 단종능 4

 

능상의 석물들은 추복릉의 전례에 따라 후릉의 예를 본받아 행하라는 교지에 의하여 봉분주위에 석호와 석양이 각각 1쌍씩 있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과 사각옥형의 장명등이 있으며 능 양쪽에는 망주석 2기와 문인석 2기, 석마 1쌍이 있고 무인석은 없다.

 

 

장릉- 단종능 5

 

능상의 석물들은 추복릉의 전례에 따라 후릉의 예를 본받아 행하라는 교지에 의하여 봉분주위에 석호와 석양이 각각 1쌍씩 있으며

봉분 앞에는 상석과 사각옥형의 장명등이 있으며 능 양쪽에는 망주석 2기와 문인석 2기, 석마 1쌍이 있고 무인석은 없다.

 

난간석, 병풍석이 없고, 망주석에는 세호가 없다고 하네요...ㅎㅎ...^-^

 

장릉- 단종능 관람하고 내려가는 길 1....답사회원들 ...

 

장릉- 단종능 관람하고 내려가는 길 2...엄나무...두릎나무과 식물입니다...ㅎㅎ...^-^

 

장릉- 단종능 관람하고 내려가는 길 3...답사회원...

 

장릉- 단종능 관람하고 내려가는 길 4...내려다 본  '단종비각(지붕만 보임), 수복실, 장판옥, 배식단...

 

장판옥: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충신위(33인), 조사위(186인), 환자군노위(44인), 여인위(6인) 위패를 모신 곳

배식단: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충신위(33인), 조사위(186인), 환자군노위(44인), 여인위(6인)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매년 단종제향을 올린 후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모두 268위의 영혼과 함께 하시니 외롭지는 않을 듯 합니다...^-^ 

 

 

장릉 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