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묵]2017년 3월30일 [(자) 사순 제4주간 목요일]매일미사 묵상
입당송
시편 105(104),3-4
주님을 찾는 마음은 기뻐하여라. 주님과 그 권능을 구하여라. 언제나 그 얼굴을 찾아라.
본기도
인자하신 주님, 주님의 종인 저희가 참회로 용서를 받고 착한 생활로 거룩하게 되어, 주님의 계명을 언제나 성실히 따르며, 깨끗한 마음으로 파스카 축제를 맞이하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성자의 이름으로 아멘.
말씀의 초대
모세는 수송아지 상을 만들어 놓고 그것에 절하며 제사 지내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진노를 터뜨리시는 주님께 애원하여 재앙을 거두시게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내가 하고 있는 일들이 나를 위하여 증언한다며, 나를 믿지 않는 너희를 고소하는 이는 너희가 희망을 걸어 온 모세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주님, 당신 백성에게 내리시려던 재앙을 거두어 주십시오.>
▥ 탈출기의 말씀입니다. 32,7-14
그 무렵 7 주님께서 모세에게 이르셨다. “어서 내려가거라. 네가 이집트 땅에서 데리고 올라온 너의 백성이 타락하였다. 8 저들은 내가 명령한 길에서 빨리도 벗어나, 자기들을 위하여 수송아지 상을 부어 만들어 놓고서는, 그것에 절하고 제사 지내며, ‘이스라엘아, 이분이 너를 이집트 땅에서 데리고 올라오신 너의 신이시다.’ 하고 말한다.”
9 주님께서 다시 모세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이 백성을 보니, 참으로 목이 뻣뻣한 백성이다. 10 이제 너는 나를 말리지 마라. 그들에게 내 진노를 터뜨려 그들을 삼켜 버리게 하겠다. 그리고 너를 큰 민족으로 만들어 주겠다.”
11 그러자 모세가 주 그의 하느님께 애원하였다. “주님, 어찌하여 당신께서는 큰 힘과 강한 손으로 이집트 땅에서 이끌어 내신 당신의 백성에게 진노를 터뜨리십니까? 12 어찌하여 이집트인들이, ‘그가 이스라엘 자손들을 해치려고 이끌어 내서는, 산에서 죽여 땅에 하나도 남지 않게 해 버렸구나.’ 하고 말하게 하시렵니까? 타오르는 진노를 푸시고 당신 백성에게 내리시려던 재앙을 거두어 주십시오.
13 당신 자신을 걸고, ‘너희 후손들을 하늘의 별처럼 많게 하고, 내가 약속한 이 땅을 모두 너희 후손들에게 주어, 상속 재산으로 길이 차지하게 하겠다.’ 하며 맹세하신 당신의 종 아브라함과 이사악과 이스라엘을 기억해 주십시오.”
14 그러자 주님께서는 당신 백성에게 내리겠다고 하신 재앙을 거두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너희를 고소하는 이는 너희가 희망을 걸어 온 모세이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31-47
그때에 예수님께서 유다인들에게 말씀하셨다.
31 “내가 나 자신을 위하여 증언하면 내 증언은 유효하지 못하다. 32 그러나 나를 위하여 증언하시는 분이 따로 계시다. 나는 나를 위하여 증언하시는 그분의 증언이 유효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
33 너희가 요한에게 사람들을 보냈을 때에 그는 진리를 증언하였다. 34 나는 사람의 증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이러한 말을 하는 것은 너희가 구원을 받게 하려는 것이다. 35 요한은 타오르며 빛을 내는 등불이었다. 너희는 한때 그 빛 속에서 즐거움을 누리려고 하였다. 36 그러나 나에게는 요한의 증언보다 더 큰 증언이 있다.
아버지께서 나에게 완수하도록 맡기신 일들이다. 그래서 내가 하고 있는 일들이 나를 위하여 증언한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다는 것이다. 37 그리고 나를 보내신 아버지께서도 나를 위하여 증언해 주셨다. 너희는 그분의 목소리를 들은 적이 한 번도 없고 그분의 모습을 본 적도 없다. 38 너희는 또 그분의 말씀이 너희 안에 머무르게 하지 않는다. 그분께서 보내신 이를 너희가 믿지 않기 때문이다.
39 너희는 성경에서 영원한 생명을 찾아 얻겠다는 생각으로 성경을 연구한다. 바로 그 성경이 나를 위하여 증언한다. 40 그런데도 너희는 나에게 와서 생명을 얻으려고 하지 않는다.
41 나는 사람들에게서 영광을 받지 않는다. 42 그리고 나는 너희에게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는 것을 안다. 43 나는 내 아버지의 이름으로 왔다. 그런데도 너희는 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다른 이가 자기 이름으로 오면, 너희는 그를 받아들일 것이다. 44 자기들끼리 영광을 주고받으면서 한 분이신 하느님에게서 받는 영광은 추구하지 않으니, 너희가 어떻게 믿을 수 있겠느냐?
45 그러나 내가 너희를 아버지께 고소하리라고 생각하지는 마라. 너희를 고소하는 이는 너희가 희망을 걸어 온 모세이다. 46 너희가 모세를 믿었더라면 나를 믿었을 것이다. 그가 나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하였기 때문이다. 47 그런데 너희가 그의 글을 믿지 않는다면 나의 말을 어떻게 믿겠느냐?”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이 성사의 힘으로 주님의 종들을 깨끗이 씻어 주시고, 저희를 모든 죄의 사슬에서 풀어 주시어, 구원의 영약을 가득히 받고 진리의 빛을 따라 살게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 드리나이다. 아멘.
오늘의 묵상
오늘 예수님께서는 유다인들에게 당신이 진정한 메시아이심을 밝히십니다. 이를 위해 당신을 증언할 사람으로 세례자 요한을 들지요. 그러면서 요한은 타오르며 빛을 내는 등불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요한은 등불처럼 어둠을 밝혀 사람들을 회개하도록 이끌고, 뜨거운 열정으로 하늘 나라가 다가왔음을 선포하지 않았습니까? 끝내 요한은 자신을 태워 어둠을 밝히다가 꺼지는 등불이 됩니다. 이처럼 세례자 요한은 예수님을 증언하려고 자신의 삶을 온전히 바친 것입니다.
한편 예수님께서는 요한만을 증인으로 내세우지 않습니다. 당신의 말씀과 행동이 바로 당신이 메시아임을 입증하는 것이라 주장하십니다. 이는 결국 하느님의 능력이 예수님 안에서 활동하고 계시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따라서 예수님께서 메시아이심을 증언하시는 분은 결국 하느님이시라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유다인들은 이를 깨닫지 못합니다. 그들은 하느님 말씀을 늘 대하면서도 막상 성경에 내포된 하느님의 뜻을 찾기보다는, 그저 성경의 글귀 한 자, 한 자에만 얽매였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그들은 죽은 신앙을 가지게 된 것이지요.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행동하는 분이시기에, 하느님의 말씀도 살아 있는 말씀입니다. 그러기에 성경을 대하면서 그 안에 담긴 메시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실제로 행동해야 합니다. 이렇게 행동하는 신앙인이 될 때, 우리는 예수님을 제대로 알아보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될 것입니다. (김준철 토마스 아퀴나스 신부)
♣ 사랑에 대한 기억상실과 불신 ♣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집트 종살이에서 해방시켜주신 하느님의 자비를 잊은 채 우상숭배에 빠져 하느님의 진노를 삽니다. 주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내가 이 백성을 보니, 참으로 목이 뻣뻣한 백성이다. 그들에게 내 진노를 터뜨려 그들을 삼켜 버리게 하겠다.”(탈출 32,9-10) 그러자 모세는 조상들에게 베푸신 자비를 기억하시어 타오르는 진노와 재앙을 거두어달라고 절절한 사랑으로 간청합니다(32,12-13).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엉뚱하게도 수송아지를 섬겼던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메시아로 오신 당신을 믿지 않고 죽이려 드는 유다인을 질책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믿지 않는 이들이 믿음을 갖도록 자신의 사명과 정체성을 알려주시며 믿음을 통한 구원의 길로 인도하고자 하십니다. 끝내 죄 많은 이들을 위해서 수난을 받으시고 목숨까지 내 놓으셨지요.
오늘날에도 목이 뻣뻣해져 하느님이 아닌 우상을 섬겼던 구약의 이스라엘 백성이나 하느님의 일을 보고 그분의 말씀을 듣고도 믿지 않는 신약의 유다인들과 같은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자기 목숨도 시간도 재능도 주변 환경과 삶의 터인 온갖 생태계와 사람들도 다 주님의 선물입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잊어버리고 눈앞의 것에서 즐거움을 찾는 어리석음을 되풀이하는 것이지요.
유다인들은 하느님의 일을 하시는 예수님이 바로 메시아이심을 믿지 않습니다. 믿지 않기에 주님의 목소리를 듣지 못하고 주님의 모습을 뵙지도 못하며, 주님의 말씀이 그들 안에 머물지 않습니다(요한 5,37-38). 그들은 믿음이 없기에 메시아이신 예수님에게서 생명을 얻으려 하지 않습니다(5,40). 그들은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어 예수님을 받아들이지 않고, 하느님에게서 받는 영광을 추구하지 않습니다(5,42-44).
오늘의 말씀에 비추어 자신을 돌아봐야겠습니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예수님의 말씀처럼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 하느님이 아닌 내가 중심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예수님을 받아들일 여백이 없어지고, 자신이 삶의 주인이라는 착각에 빠질 것입니다. 이른바 공주병, 왕자병에 걸려 자신의 구원은 물론 불의와 불동평과 거짓 앞에 눈을 감아버림으로써 나락에 떨어질 것이 뻔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매순간 하느님의 감당할 수 없는 자비를 ‘기억하며’ 살고 있는지 돌아봐야겠습니다. 희로애락으로 점철하는 모든 순간에 함께해주신 하느님의 자비를 잊어버리지 않아야 합니다. 하느님의 자비를 기억하며, 그 사랑을 실천하는 삶이 얼마나 기쁘고 행복한 지를 온몸으로 드러내야겠습니다.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 다른 이들의 배려와 호의를 기억하는 능력을 상실해버리는 그것이 우리를 더 아프게 하고 슬프게 합니다.
또한 우리는 기도와 사랑과 헌신을 통한 중재자의 역할도 수행해야 함을 기억해야겠습니다. 모세는 우상에 빠진 어리석은 백성에 대한 사랑과 그들의 구원을 위해 온 힘을 다해 주님께 간청했지요. 예수님께서는 믿음이 없는 유다인들이 영원한 생명의 길로 가도록 알려주시고, 자기 목숨까지 내놓으셨습니다. 우리 또한 모세나 예수님처럼 사랑과 화해의 중재자가 되어 세상에 빛을 밝히도록 힘써야겠습니다.
오늘도 하느님을 사랑하는 마음과 믿음 안에서 주님의 말씀을 경청하고 받아들이며, 우상을 섬기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나 세상 안에서 하느님의 영광을 추구하는 복된 날이길 소망합니다. (기경호 프란치스코 신부)
2017년 3월30일 [(자) 사순 제4주간 목요일]
복음 <너희를 고소하는 이는 너희가 희망을 걸어 온 모세이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유다인들에게 당신이 진정한 메시아이심을 밝히십니다.
당신의 말씀과 행동이 메시아임을 입증하는 것이라 주장하십니다.
하느님의 능력이 예수님 안에서 활동하고 계시다는 것을 의미하지요.예수님께서 메시아이심을 증언하시는 분은 결국 하느님이시라는 말씀입니다.
그런데 유다인들은 이를 깨닫지 못합니다.
그들은 하느님 말씀을 늘 대하면서도 성경에 내포된 하느님의 뜻을 찾기보다는,그저 성경의 글귀 한 자, 한 자에만 얽매였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그들은 죽은 신앙을 가지게 된 것이지요.
하느님께서는 행동하는 분이시기에, 하느님의 말씀도 살아 있는 말씀입니다.
성경을 대하면서 그 안에 담긴 메시지를 파악하고, 행동해야 합니다.행동하는 신앙인이 될 때,
예수님을 알아보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게 될 것입니다.
아멘...수산나 -
개잎갈나무 1
개잎갈나무 2
개잎갈나무 3
개잎갈나무 4
'매일미사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묵]2017년 4월1일 [(자) 사순 제4주간 토요일]매일미사 묵상/독일가문비 2장 (0) | 2017.04.01 |
---|---|
[매묵]2017년 3월31일 [(자) 사순 제4주간 금요일]매일미사 묵상/안개나무 4장 (0) | 2017.03.30 |
[매묵]2017년 3월29일 [(자) 사순 제4주간 수요일]매일미사 묵상/붉은 색 꽃사과 3장 (0) | 2017.03.29 |
[매묵] 2017년 3월28일 화요일 [(자) 사순 제4주간 화요일]매일미사 묵상/ 영춘화 4장 (0) | 2017.03.28 |
[매묵]2017년 3월27일 [(자) 사순 제4주간 월요일]매일미사 묵상/ 노린재나무 4장 (0) | 2017.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