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굿뉴스 강론

[굿강]◆ 요셉 신부님의 매일 복음 묵상 - 사람을 안다는 것은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9장

김현아 [estherlove] 쪽지 캡슐

2018-08-19 ㅣ No.122764

 

 

2018년 나해 연중 제20주간 월요일

 

 

<사람을 안다는 것은>

 

 

  복음:마태오 19,36-22



십자가를 지고 가는 예수



엘 그레코 작, (1600-1605),  마드리드 프라도 미술관
 

 

 

      저는 어떤 누구에게도 “난 널 알아.”라는 말은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저도 저를 모르겠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누군가 저에게 “난 당신을 압니다. 당신은 이러저러하잖아요.”라고 하면 여러 감정이 듭니다. 물론 맞는 말이지만 다 맞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안다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미 새빌은 영국의 가장 유명했던 국민 MC중에 한사람이었습니다. 그가 죽자 나라 전체가 애도의 분위기에 휩싸일 정도로 장례식이 치러졌습니다. 그런데 그의 재치와 환한 웃음, 병원 등에서 평생 해 온 자선과 봉사활동 이면에는 국민들이 모르는 또 다른 지미 새빌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그는 50여 년 동안 그의 명성을 등에 업고 무려 450여명을 성추행 하였고 성폭력 피해자 중 70%가 미성년자였습니다. 피해자 중 아무도 그의 명성을 넘어뜨릴만한 인지도가 없었기 때문에 그는 평생 영국인들의 우상으로 살아올 수 있었던 것입니다.

      물론 BBC 방송국은 프로그램의 이미지 때문에 사내에서 일어나고 있었던 성폭행을 쉬쉬하였고, 병원은 암투병 어린이와 장애 아동까지 성폭행 하는 것을 알았음에도 후원이 끊길까봐 이 사실을 알리지 못한 원인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수십 년 동안 TV에 방영되는 그의 모습으로는 절대 그의 본 모습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인간관계는 당연히 상대를 알 때 더 친밀해집니다. 그러나 우리는 겉 표면만 보고서도 상대를 안다고 단정해버립니다. 이름을 알고 키를 알고 가족을 알고 좋아하는 음식을 안다면 그 사람을 아는 것일까요? 이런 것쯤은 세상 어떤 누구도 인터넷만 치면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순신 장군에 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순신 장군을 안다고 하지는 않습니다. 겉모양만이 아니라 내면도 알아야 아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내면은 자기 자신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 사람의 마음을 알려면 정밀한 심리검사와 상담을 통해서도 적어도 2년은 족히 걸린다고 합니다. 그러니 어떤 사람을 아는 것처럼 치부해버리고 자신이 아는 한계 내에서 벗어나는 것을 견뎌내지 못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누구든 내 상상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가능성은 본인도 모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사람을 만날 때 안다고 하지 말고 겸손한 모습으로 바라봐야합니다.

      서울을 알려면 서울에 얼마나 살아봐야 할까요? 저는 로마에 9년을 살았는데도 로마를 잘 모릅니다. 사람이 서울이나 로마보다 덜 복잡할까요? 세상 존재하는 그 어떤 것보다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복잡한 존재가 인간입니다.


      그렇지만 사람을 알아야 관계가 깊어지기에 누군가를 끊임없이 알아가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그렇다면 누군가를 아는 가장 빠르고 완전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다른 것은 다 모르더라도 그 사람이 ‘무엇을 원하는가’만 알려고 노력하면 됩니다. 사람을 알려면 그 사람의 마음을 알아야합니다. 마음은 사람의 가장 깊숙한 곳에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을 알면 그 사람을 거의 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말 없는 보석이 말 많은 남자보다 여자의 마음을 움직인다네!”

      남자는 여자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이런 저런 말을 하고 행동을 합니다. 그런데 여자가 원하는 것은 이도 저도 아닐 수 있습니다.


      오늘 복음에서 어떤 부자는 하느님과의 친밀함을 자랑하기 위해 사람들 앞에서 예수님께 말을 겁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잘 아는 것처럼 “선하신 선생님!”이라 부릅니다. 이미 예수님을 판단해 놓은 것입니다.

      예수님은 ‘네가 나를 어떻게 안다고?’라는 식으로 “왜 나를 선하다고 하느냐, 선하신 분은 한 분뿐이시다.”라고 대답하십니다. 무조건 네가 틀렸다는 뜻입니다. 어찌 사람이 하느님을 안다고 단정할 수 있을까요?

      부자는 하늘나라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묻습니다. 그는 이미 자신이 계명을 다 잘 지키기 때문에 자신 있게 물은 것입니다. 자신도 안다고 믿은 것입니다. 예수님은 십계명을 잘 지키면 된다고 대답하십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잘 지켜왔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그의 위선을 아십니다. 그가 부자인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하느님의 계명은 서로 사랑하라는 것인데 가난한 사람들이 존재하는 한 어떻게 부자가 이웃을 사랑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그는 하느님께서 자신을 부자로 사는 것을 원하신다고 착각하지만 하느님은 그가 가난해지는 것을 원하셨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부자에게 가진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주라고 합니다. 그것이 하느님이 원하시는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십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거부합니다. 그냥 우울하게 돌아갑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느님께서 원하시도록 덮어씌우는데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하느님께서 무엇을 원하시는지는 이미 성경에 다 나와 있습니다. 가난한 사람이 하늘나라를 차지할 것이라고 명확히 말씀하십니다. 그럼에도 그분이 원하시는 것을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우리 가정이 부자로 세상에서 건강하고 성공해서 살기를 원하신다고 단정 지어버립니다. 그리고 하느님을 잘 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그런 하느님은 자신이 만든 하느님입니다. 그러니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가 안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과 더 완전한 관계를 맺고 그 완전한 관계에서 오는 더 완전한 행복을 맛보고 싶다면 성경말씀대로 살아보면 됩니다. 하느님께서 원하는 것을 알아야 하느님을 안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www.수원교구영성관.com/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1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2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3...성가대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4...영성체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5...영성체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6...영성체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7...영성체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8...성가

 

분당 요한성당 성시간(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신심미사) 9...영성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