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21일(화) 오늘의 3개
* 결정권자* In my house I'm the boss, my wife is just the decision maker.(Woody Allen) (우리 집에서는 내가 대장이고 아내는 결정권자다. ) 나는 이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이것이 내 이야기이고 우리 집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어서 여러 번 곱씹어 보았다. 결혼해서 얼마 동안은 그래도 내가 결정하는 게 좀 있었지만 현재로서는 내가 결정하는 것이 거의 없고 아내가 다 결정해버리기 때문이다. 몇 년에 걸친 헤게모니 쟁탈전에서 아내한테 밀리고 나니까 탈환할 길이 없었다. 이제는 반격을 시도할만한 힘이나 무기도 없으니 다시 찾아오는 일은 아예 포기해 버렸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험난한 투쟁의 과정이 있었던 것을 기억한다. 투쟁은 아주 작은 일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버스나 전철을 같이 탔을 때 여기 저기 자리가 있어서 내가 자리를 잡고 앉으면 꼭 자기가 잡은 자리로 오라고 손짓을 했다. 교회 예배가 시작되기 전에 좀 일찍 예배당에 가서 자리를 잡을 때도 이런 일이 벌어졌다. 영화를 보러 가거나 음악회 같은 델 가드라도 자기가 먼저 가자고 하게 만들어야지, 내가 먼저 가자고 하면 그렇게 재미없는 걸 왜 보러 가냐고 하는 것이었다. 이 모든 것이 헤게모니를 잡기 위한 투쟁의 초기 과정이었고 남편을 길들이기 위한 훈련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런 작은 일을 가지고 다투는 것이 째째해 보여서 매번 져주고 물러섰는데 이렇게 작은 일에서 저준 것이 화근이 되어 점점 더 밀리게 되더니 결국에는 헤게모니를 잃게 되었고 모든 것을 아내가 다 결정하는 것으로 되어버렸다. power struggle의 진행 원리가 다 이런가 보다. 내가 이렇게 power struggle에서 진 것을 인정해서, 우리 집의 결정권을 아내가 다 가져 간 것은 그런대로 참아주더라도 이것을 손에 쥐고 있다고 폭정을 하는 것은 참기 힘들다. Oscar Wilde는 여자의 역사는 최악의 형태의 폭정의 역사이며 이것이 약자가 강자에게 휘두르는 폭정으로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것이라고 했다. The history of woman is the history of the worst form of tyranny the world has ever known--the tyranny of the weak over the strong. It is the only tyranny that lasts. 내 옷이나 넥타이 같은 것을 내가 사 오면 어디서 그런 것을 샀느냐고 야단을 치기 때문에 아예 혼자 사러 갈 생각을 안 한다. 그래서 나는 아주 물건을 살 줄 모르는 사람으로 우리 집안에서 공인이 되어 있다. 결혼해서 처음 몇 년은 아내의 생일 선물을 사 주다가 얼마 안 되어 곧 포기해 버렸다. 자기가 원치 않는 것, 쓸 데 없는 것을 사왔다고 핀잔을 주니 내가 머리를 쓰고 정성을 들여서 준비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이제는 사고 싶은 것 사라고 돈을 주면 되는 것으로 굳어졌다. 어디 나들이를 하거나 여행을 가고 싶어도 몸도 시원치 않은 사람이 그렇게 나다니면 안 된다고 決裁를 안 하니 갈 생각을 안 한다. 꼭 자기가 같이 따라가서 돌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그렇다. 그래서 나는 가까운 친구들이 부부 동반 여행을 가자고 해도 아예 내 아내에게 먼저 물어보라고 한다. 내 칠순 때 구라파 여행을 보내주겠다는 아들의 제의에 내가 비엔나를 가보게 되어 좋다고 기뻐했는데 아내의 결재가 안 나서 保留되었다. 내 아내가 가까운 데를 가더라도 손자 손녀와 함께 비행기 타는 여행을 해보고 싶다고 하는 바람에 아들 둘이서 目下 고민 중이다. 손자 손녀를 다 데리고 가려면 엄마 아빠가 따라가야 함으로 10명이 함께 움직이는 여행이 될테니 비용도 만만치 않겠지만 아들 둘이 각각 자기 직장에서 받는 휴가기간을 같은 날짜로 맞추기가 쉽지 않은 모양이다. 모든 결정을 아내가 다 해버리니까 나는 따라가기만 하는 줏대 없는 사람이 되었고 결단력 없이 눈치만 보는 사람으로 변해버렸다. 내 아내는 또 내가 이렇게 변한 것이 싫다고 불만이다. 나를 이렇게 만들어 놓은 것이 자기인데도 말이다. 내 아내만 이런 것에 불만인 줄 알았더니 많은 여자들이 그렇다는 것을 다음과 같은 글이 말해준다. Why does a woman work ten years to change a man's habits and then complain that he's not the man she married? (왜 여자는 남편의 습관을 10년이나 걸려서 고쳐놓고 나서, 남편이 결혼할 당시의 사람이 아니라고 불평을 할까?) Most women set out to change a man, and when they have changed him they do not like him. (대부분의 여자들은 한 남자를 변화시키려 하고 나서, 막상 변화됐을 때는 그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위의 말들이 joke처럼 들릴 수도 있겠지만 나는 이 말들이 진실을 말하고 있다고 본다. Bernard Shaw는 진실을 말하는 joke가 제일 재미있는 joke이고 그것이 자기의 방식이라고 했다. My way of joking is to tell the truth. It is the funniest joke in the world. 왜 내가 이렇게 헤게모니를 잡는데 실패해서 결정권을 다 뺏겨버렸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다가 다음과 같은 글을 보았다. Once made equal to man, woman becomes his superior. 여자란 남자와 평등하게 대해주면 꼭 남자의 상관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아내를 처음부터 평등하게 대해 주어서 이렇게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므로 결론은 남자가 자기보다 못난 여자를 아내로 맞아야만 둘 사이의 평등을 이룰 수있다고 한다. The wife should be inferior to the husband; that is the only way to insure equality between the two. |
헨리 나웬 신부님(1932.1.24-1996.9.21)의오! 그리고 늘! 6월 21일
<우리가 선포하는 진리로 자라난다는 것>
Growing into the Truth We Speak
말하는대로 온전히 살아야만 우리는 선포할 수 있는 걸까요? 우리가 한 모든 말이 모든 행동과 같아야 한다면 아마 평생 입을 닫고 살아가야 할 겁니다! 때론 우리가 아직 온전히 살지 못하는데도 하느님의 사랑을 선포하라는 부르심을 받게 됩니다. 이게 우리가 위선자라는 것을 뜻하는 걸까요? 우리가 한 말에 자신이 회심(回心,回頭)하지 않을 때만 그럴 겁니다. 자신이 품고 있는 이상과 비전에 빈틈없이 꼭 맞게 사는 이는 아무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상과 비전을 깊이 확신하고 또 아주 겸손하게 선포함으로써 우리가 선포하는 진리로 시나브로 자라날 수 있는 겁니다. 언제나 더 크게 선포하는 건 하는 말 보다는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임을 아는 한 우리가 하는 말도 늘 겸손할 것이라 믿을 수 있는 겁니다.
"여러분은 장차 자유의 법에 따라 심판받을 사람으로서 말하고 행동하십시오.자비를 베풀지 않은 자는 가차 없는 심판을 받습니다. 자비는 심판을 이깁니다."(야고2,12-13)
Growing into the Truth We Speak
JUNE 21
Can we only speak when we are fully living what we are saying? If all our words had to cover all our actions, we would be doomed to permanent silence! Sometimes we are called to proclaim God’s love even when we are not yet fully able to live it. Does that mean we are hypocrites? Only when our own words no longer all us to conversion. Nobody completely lives up to his or her own ideals and visions. But by8roclaiming our ideals and visions with great conviction and great humility, we may gradually grow into the truth we speak. As long as we know that our lives always will speak louder than our words, we can trust that our words will remain humble.
"Speak and act as those who are going to be judged by the law that gives freedom, because judgment without mercy will be shown to anyone who has not been merciful. Mercy triumphs over judgment!" - James 2: 12-13
헨리 나웬 신부님(1932.1.24-1996.9.21)의오! 그리고 늘! 6월 20일
<올바로 살고 올바로 말한다는 것>
Right Living and Right Speaking
하느님의 증인이 된다는 건 하느님께서 계시다는 걸 이 세상에 보여주는 산 표지가 된다는 겁니다. 우리가 사는 모습이 말하는 것보다 더 소중한 겁니다. 올바로 살면 늘 올바로 말하는 걸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마음으로 이웃을 용서한다면 그 마음에서 우러나온 용서하는 말을 할 겁니다. 감사하는 마음을 먹으면 감사하는 말을 하고, 희망이나 기쁜 마음을 품으면 우리가 하는 말에도 희망과 기쁨이 담기게 될 겁니다.
말이 너무 앞서 말한대로 살아가지 못한다면 두 가지 메시지를 보내기 십상입니다. 말과 행동이 서로 다른 두가지 메시지를 보내기 때문에 위선자가 되는 겁니다. 해서 우리가 살아가는 것이 올바른 말을 하게 하고 우리가 하는 말은 올바른 삶으로 이어져야 하는 겁니다.
나는 믿었다. 그러므로 말하였다.”고 성경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와 똑같은 믿음의 영을 우리도 지니고 있으므로 “우리는 믿습니다. 그러므로 말합니다.”--이 모든 것은 다 여러분을 위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은총이 점점 더 많은 사람에게 퍼져 나가 하느님의 영광을 위하여 감사하는 마음이 넘치게 하려는 것입니다.(2코린4,13,15)
Right Living and Right Speaking
JUNE 20
To be a witness for God is to be a living sign of God’s presence in the world. What we liv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we say, because the right way of living always leads to the right way of speaking. When we forgive our neighbours from our hearts, our hearts will speak forgiving words. When we are grateful, we will speak grateful words, and when we are hopeful and joyful, we will speak hopeful and joyful words.
When our words come too soon and we are not yet living wht we are saying, we easily give double messages. Giving double messages – one with our words and another with uor actions – makes us hypocrites. May our lives give us ㅡㅡ right words and may our words lead us to the right lifeㅡ
"I believed; therefore I spoke." With that same spirit of faith we also believe and therefore speak... All this is for your benefit, so that the grace that is reaching more and more people may cause thanksgiving to overflow to the glory of God." - 2 Corinthians 4: 13, 15 (NIV)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3 글]진짜 좋은글/멋진 사람이 되는 10가지/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말(헨리 나웬) (0) | 2022.06.23 |
---|---|
[0622 글]프랑스 드골 대통령의 정신/그리움 mother (0) | 2022.06.22 |
[0620 글]허홍구 이야기 모음 등/양파 이야기 (1) | 2022.06.21 |
[0619 글]<성령님의 열매라는 것>(헨리 나웬)/지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0) | 2022.06.19 |
[0618 글] 가슴 먹먹해지는 글(김필수 이야기) /<우리가 하느님의 영광이라는 것>(헨리 나웬) (0) | 2022.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