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용 묘표
이정용 묘
이정용 신도비와 이경류 정려비
李廷龍 墓(이정용 묘) 및 神道碑 (신도비)
소재지 : 분당구 수내동 산1-2
시 대 : 조선시대
종 류 : 墓 (묘)
내 용
이정룡(1627∼1689)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효자. 본관은 韓山(한산) . 자는 夢鄕(몽향) . 예조판서 增(증) 의 증손. 병조좌랑 慶流(경류) 의 손. 대구부사 燕(연) 의 자. 3세 때 부친상을 당하여 執喪(집상) 하지 못함을 평생 한하였고, 편모를 모시는데 있어서는 誠孝(성효) 를 다하여 靜觀齋 李端相(정관재 이단상) 의 칭송을 들었다. 仕宦(사환) 에는 뜻을 두지 않아 음보로 좌랑, 厚陵參奉(후능참봉) 에 임용되었으나 이내 사임하고 향리로 돌아갔다. 후에 다시 穆陵參奉(목릉참봉) , 長興庫奉事(장흥고봉사) 를 역임하고 군자주부에 올랐다.
외직으로는 文化縣令·金堤郡守(문화현령·김제군수) 등을 거쳤는데 문화현에서는 治民(치민) 을 잘하여 백성들이 그 공을 召杜(소두) 의 고사를 인용하여 칭송하였다.또 사복시판관직을 지내고 溫陽郡守(온양군수) 를 역임하였으며 휘릉참봉을 제수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아들 이택이 현달함으로써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行通訓大夫金提郡守鎭管兵馬同僉節制使(가선대부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행통훈대부김제군수진관병마동첨절제사) 를 증직받았다
또 사복시판관직을 지내고 溫陽郡守(온양군수) 를 역임하였으며 휘릉참봉을 제수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아들 이택이 현달함으로써 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行通訓大夫金提郡守鎭管兵馬同僉節制使(가선대부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행통훈대부김제군수진관병마동첨절제사)를 증직받았다.
묘역은 이증 묘역 좌측 능선에 南向(남향) 하여 있다. 용미와 활개를 갖춘 원형의 봉분은 높이 170㎝, 직경 540㎝이다. 묘역은 봉분 중앙에 묘표·혼유석·상석·4각 향로석과 좌우에 8각 망주석·문인석 등의 석물 외에 봉분 좌측에 원래의 상석 1매가 놓여 있다. 상석은 백색대리석제로 최근에 마련된 것이며, 4면에 鬼面(귀면) 이 양각된 두 개의 고석이 받치고 있다. 향로석은 교자상 형태로 전후 4엽, 좌우 1엽의 복판복련문이 수려하게 조식되어 있다. 크기는 높이 40㎝, 너비 34㎝이다. 망주석은 적색으로 변색되어 있으며 석수가 양각되어 있다. 크기는 좌우가 높이 140㎝이다. 문인석은 좌우가 높이 155㎝, 얼굴부분 50㎝인 3등신의 신체비율로 소형이다.
머리에는 五梁冠(오량관) 의 冠帽(관모) 를 착용하고 통통한 얼굴에 눈꼬리를 위로 치켜떴으며, 눈동자의 표현이 사실적이다. 笏(홀) 을 마주잡은 두 손은 左手(좌수) 가 右手(우수) 를 덮고 있으며 길다란 손가락의 표현 외에 옷소매의 표현 등 조각수법이 섬세하고 화려하다. 蔽膝(폐슬) 은 3엽의 花紋(화문) 이 수려하고 後綬(후수) 에는 佩玉(패옥) 을 달았다.
墓表(묘표) 는 비좌와 비신 월두형으로 비좌는 4면에 당초문이 있고 상부에 전후 5엽, 좌우 1엽의 단판복련문이 조식되어 있다. 비신은 백색대리석제로 비문은 前面(전면) 에만 있으며 종4열로 ‘有明朝鮮贈吏曹參判行金堤郡守李公諱廷龍之墓 贈貞夫人濟州梁氏?左(유명조선증이조참판행김제군수이공휘정용지묘 증정부인제주양씨부좌) ’의 비문이 있다. 크기는 비좌 높이 32㎝·너비 87㎝·두께 58㎝, 비신 높이 146㎝·너비 60㎝·두께 26.5㎝이며 總高(총고) 178㎝이다.
神道碑(신도비)는 중앙공원 내 탄천을 바라보고 南西向(남서향) 하여 있다. 현재 비각(1997.5~1999.8) 내에 李慶流旌閭碑(이경류정려비) 와 같이 보호되고 있다. 碑(비) 는 백색화강암의 비좌 및 비신과 8작지붕 형태의 옥개석을 갖추고 있다. 비좌는 4면에 唐草文(당초문) 과 상부에 전후 5엽, 좌우 1엽의 단판복련문이 있다. 비신의 비문은 前後·2面(전후·2면) 에 있으며, 상단에는 前後·2面(전후·2면) 에 걸쳐 篆書(전서) 로 ‘贈吏曹參判行金堤郡守李公神道碑銘(증이조참판행김제군수이공신도비명) ’이라 되어 있다. 비제는 ‘有明朝鮮國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行通訓大夫行金提郡守全州鎭管兵馬同僉節制使李公神道碑銘 幷序(유명조선국증가선대부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행통훈대부행김제군수전주진관병마동첨절제사이공신도비명 병서) ’이다. 비문은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事監春秋館 李宜顯(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우의정겸영경연사감춘추관 이의현) (1669∼1745)이 찬하고, 通訓大夫宗簿寺正知制敎兼春秋館編修官 金鎭尙(통훈대부종부사정지제교겸춘추관편수관 김진상) (1684∼1755)이 쓰고, 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洪鉉輔(가선대부예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오위도총부부총관 홍현보) (1680∼1740)가 전액을 했다. 건립연월은 崇禎紀元後戊申(숭정기원후무신) (1728, 영조 4) 10月(월)이다. 비문의 찬자 이의현은 조선 숙종 영조대의 문신·서예가로 글씨에 능하여 평택시 소재 忠正公 洪翼漢墓碣(충정공 홍익한묘갈) , 남양주시 별내면 李弘述神道碑(이홍술신도비) , 와부읍 李世白墓碣(이세백묘갈), 등을 撰(찬) 하거나 書(서) 했다. 또 서자 김진상은 光山 金長生(광산 김장생) 의 증손으로 행서와 예서 및 초서 등에 능하여 충북 보은군 회덕의 忠賢書院事實碑(충현서원사실비) 와 靑龍寺事蹟碑(청룡사사적비) 등 전국에 많은 비문을 남겼다.
크기는 비좌 높이 60㎝·너비 154㎝·두께 99㎝, 비신 높이 214㎝·너비 87㎝·두께 30㎝, 옥개석 높이 52㎝·너비 137㎝·두께 86㎝이며 總高(총고)326㎝이다.
참고문헌
京畿道(경기도), 『京畿人物誌(경기인물지)』上(상),1991.
京畿道(경기도), 『京畿金石大觀(경기금석대관) 』6,1992.
경기도, 『경기문화재대관』,1998.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남양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학술조사총서 제5집),1999.
한양대학교박물관, 『분당지구 문화유적 종합학술조사보고서』,1991.
비 고 : 경기도기념물 제116호
[출처 : 성남문화원]
'성남문화원·문화해설사·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남문화해설사 양성교육과정 - 제6강 신라와 고려 석탑의 이해 - 홍대한 박사 (0) | 2012.06.20 |
---|---|
성남문화해설사 양성교육과정 - 제5강 성남시 도시새마을운동으로 인한 발전과정 - 안일준 성남문화원 부원장 (0) | 2012.06.13 |
성남문화유적 답사 - 이증 묘 및 신도비 (0) | 2012.06.11 |
성남 옛 이야기 / 성남문화유적 답사 - 청백리 이병태(李秉泰) (0) | 2012.06.03 |
성남문화해설사 양성교육과정 - 제4강 성남의 집성촌과 역사인물 - 문수진 전 신구대 교수 (0) | 201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