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역사

고려후기의 사회와 문화 /이암이 원의 농서 농산집요를 간행

고려후기의 사회와 문화 韓國歷史

2008/06/05 12:26

 

복사http://blog.naver.com/hh2hh2s1/100051486314

고려전기는 당, 북송, 요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고 후반기에는남송, 원 문화의 영향을 받아 퇴보하였지만 후기 8만대장경의 간행, 금속활자의 제작과 Saracen문화, 서역문화를의 접촉은 괄목할만 했다.

 

1. 관제와 군제

1) 관제-초기의 여러제도는 몽고식민지제도로 변경하였으나 공민왕때 다시 구관제로 복귀되었다.

지방관제는 5도양계가 계속되었다.

2) 군제-충렬왕때 만호, 천호, 백호등의 제도가 만들어 지고 공민왕때 수군도 조직되었다.

 

2. 경제조직

1) 전제(田制)-초기의 전시과전(田柴果田)이 무신의난후에 장원이 발생하고 말기에 이성계파의 과전

법(科田法)이 실시되었다.

2) 화폐-쇄은(碎銀 충렬왕), 소은병(小銀甁 충혜왕 원년 1331 포목15필에 해당), 저화(楮貨 공양왕3년

1391자섬저화고 에서 간행), 중통보초와 지원보초(원나라 화폐)를 사용하였다.

3) 농업-역대의 왕들이 모두 장려하고 공민왕때는 이암이 원의 농서 농산집요를 간행했다.

4) 보가 발달하였다.

 

 

2. 종교(불교)

초기에는 불교(정신적인 지주)와 유교(정치의 원리와윤리)가 조화되어 유학자들도 불교를 믿었다.

그러나 후기에는 주자학(혁신파)와 불교(보수파)가 대립되었다.

1) 고려불교는 어떠한 특색을 가지고 있었을까?

원래 불교가 가진 내세적인면 보다는 현세구복적(現世求福的)인 현실불교로 미신과 결부되어 주술

적이었으며 호국불교(護國佛敎)로 국가적인 신앙이었으며 귀족불교였다.

2) 종파

초기는 5교9산(五敎九山)이 대립되었고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개창하자 무신의 난후는 조계종

이 확립되었으며 선종의 발전은 귀족들의 세속불교에 대한 도전이며 내면적인 발전이 되었다.

후기에는 화엄종과 천태종이 성하였고 의종때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조계종이 성했다.

3) 명승

보조국사 지눌-무신정권시대(명종, 신종)때 승려로 조계종을 성하게 일으켰다.

태고화상 보우-공민왕때 왕사로 조계종을 발전시켰으며 우리나라 임제종 종주가 되어 조선선종의

큰 영향을 주었다.

나옹화상 혜근-공민왕때 왕사로 선종을 발전시켰다.

4) 전란중에 핀꽃 8만대장경(고종23~38)

16년간에 걸쳐 몽고의 굴복을 기원하며 강도(강화도)에 간경도감을 설치하고 간행한것인데 원문은

유학자 이규보가 지었고 그 판목(板木)이 8만여장으로 합천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5) 고려불교는 어떠한 이점과 폐단을 주었는가?

이점-호국사상의 앙양되어 승병의 군사활동이 있었고, 경전의 간행으로 인쇄술과 불교문화가 발달

하였으며 사회사업과 교화사업을 하였다.

폐단-사원이 막대한 농장을 가져 토지제도가 무너지고 각종 불교행사로 국가재정이 낭비되었다.

승려의 면세, 면역특권이 있어 국고수입이 감소하고 승려들의 비행과 타락이 심각했으며

미신적인면에 흘러서 지도능력을 상실해 버렸다.

 

 

3. 유학과 한문학

1) 유학의발전에 기여한 왕

* 충렬왕의 유학진흥책

충렬왕은 국학과 문묘를 신축하고 양현고(養賢庫)를 충실히해 경학(經學)과 사학(史學)을 장려함.

안향이 원에서 성리학을 수입 국학의 쇠퇴함에 모든관리들이 은이나 포목을 내게해 기금(섬학전)

을 만들어 양현고에 귀속시키고 섬학고(贍學庫)라 하고 그이익으로 학교를 운영하였다.

* 충선왕과 만권당(萬券堂)

충선왕이 세자로 있을때 백이정(주자학을 집대성)과함께 원의 학자들과 많은 교류를 하였다.

즉위후 국학을 성규관이라 개칭하였으며 충렬왕과의 알력으로 왕위를 떠나 연경에 머물때 만권당을

지어 이제현등 고려학자들과 원의 조맹부등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는데 만권당은 여원문화의 중심이

되어 고려유학 발전에 큰영향을 주었다.

* 공민왕

성균관을 국학으로 돌이켰다가 다시 성규관으로 고쳐 이조까지 계속되었다.

이때 성규관에서는 이색, 정몽주, 이숭인, 박의중등이 강의 하였다.

2) 주자학(性理學)

송의 훈고학에 반대하여 일어난 철학적인 유학으로 이론적이고 사색적이어서 당시의 지식인들은

부패한 불교를 배척하고 종래의 훈고학에 만족할수 없었는데 이때 전래된 성리학은 그들에게

새로운 지도이념이 되었다.

주자학과 더불어 주자가례(朱子家禮 가묘, 토장, 3년상등)가 유행하여 불교의식은 배척당했다.

* 고려말의 성리학자- 충렬왕때 안향이 원에서 처음으로 가져왔으며 충선왕때 백이정이 집대성 했다.

이제현, 이숭인, 이색,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등이 있었다.

* 배불론자(排佛論者)-정몽주, 정도전등은 대표적인 배불론자로 불교자체가 나라를 해하는 종교라고

배척했다.

# 고려의 3은-도은(陶隱 이숭인), 목은(牧隱 이색), 포은(圃隱 정몽주)를 말하며 야은(冶隱길재)를

넣기도 한다.

3) 한문학

한문학의 2고봉은 이제현과 이색이었다.

송문학의 영향을 받아 과거제실시후에는 시문학이 무인집권시에는 문인들의 도피적인 경향으로

설화문학(說話文學)인 패관문학(稗官文學)이 발달하였다.

* 작품

파한집-이인로(고종), 동국이상국집-이규보(고종), 보한집-최자(고종), 역옹패설-이제현(충선왕),

익제집-이제현, 목은집-이색(충숙왕), 포은집-정몽주(공양왕)

 

 

4. 사학(실록편찬과 역사기록사업)

1) 춘추관-장은 감수국사로 문화시중이 겸하고 실록편찬과 역사기록을 했다.

2) 작품

* 삼국사기-김부식(고려 인종 12세기경)

삼국과 신라통일기를 기록한 제일 오래된 정사로서 유교의사대주의적 경향이 짙고 사미천의

사기를 본따 만든 기전체 정사다.

* 삼국유사-중 일연(고려 충렬왕 13세기경)

삼국의 야사로 불교에 관한 기록이 많다,

단군신화와 향가14수가 실려있으며 민족적 입장에서 기록했다.

* 제왕운기-이승휴(고려 충렬왕)

詩체로 엮은것으로 상권은 중국의 기록이며 하권은 단군~충렬왕의 기록이다.

* 해동고승전-각훈(고려 고종)

왕명으로 만든 고승들의 전기다.

* 그외 편년등록(김관), 천추금경록(충렬왕때 정하신), 본조 편년강목(충선왕때 민지), 세대편년

(충목왕때 이제현)등이 있다.

 

[출처] 고려후기의 사회와 문화|작성자 삥꼴라

 

 


 

<농법과 농작물의 변화>♡9꿈♡韓國史

2006/07/04 18:30

 

 

복사http://blog.naver.com/aromahs/120026277471

시 기

농 법

농작물,

농경관련

신석기

․집 근처의 조그만 텃밭이나 강가의 퇴적지를 이용

․선기나 목기 농기구를 이용

조, 피, 수수

청동기

․구릉이나 산간에서 경작, 농경의 본격화

․석기나 목기 농기구를 이용(반달돌칼, 흠자귀)

벼(일부 저습지)

보리, 콩

철기

․벼농사의 본격화

․철제 농기구를 사용, 저수지가 축조

누에(동예)

삼국

․철제 농기구, 우경

인삼

통일신라

 

차, 호두, 잣

고려

후기

․연해안의 저습지나 간척지도 개간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 시비법(녹비법)의 발달

․밭농사에서 2년 3작의 윤작법

․논농사에서 직파법이 일반적이나 고려말에 이앙법이 보급

․호미와 보습 등의 농기구와 종자의 개량

․농상집요의 소개

목화

조선

전기

․2년 3작의 윤작법이 널리 행해짐

․이앙법이 남부 지역으로 확대, 이모작이 가능

․시비법이 발달(밑거름과 덧거름)하여 휴경지가 소멸

․쟁기, 낫, 호미 등의 농기구 개량

․목화 재배가 전국화

․농서의 편찬(농사직설, 금양잡록, 사시찬요, 농산축목서)

․가을갈이 농사법

 

후기

․수리시설이 복구되어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

․쟁기, 써래, 쇠스랑, 호미 등 농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소를

이용한 쟁기 사용이 일반화

․시비의 다양화

․이앙법과 이모작이 전국화

․견종법이 등장

․인삼과 담배의 상품작물재배

․임진왜란은

담배, 고추, 호박이 유입

․18세기에

고구마유입

․19세기에

감자가 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