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학(禮學)의 종장(宗丈)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 고택
충남 논산시 두마면 두계리 96번지에 위치한 사계고택(沙溪古宅)은 사계 김장생 선생이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로 인하여 이곳에 낙향하여 남은 여생을 우암 송시열, 송준길 등 많은 후진을
양성하며 말년을 보낸 곳으로 조선 중기(1602)에 건립된 건물이다.
조금만 행세꽤나 했다면 하늘이 낮다하고 높게 올린 솟을대문을 한 고택이 부지기수건만,
한 성씨(性氏)가 조선조 500년 역사에서 한 사람 배출도 어려운, 삼정승 육판서 전부를 배출한 것
보다도 더 영광스럽게 여겼다는 문형(文衡:대제학)을 무려 7명이나 최다 배출한,조선조 일등명문
광산(光山) 김씨 사계가(沙溪家)의 대문은 소박한 평대문이다.
고택은 사랑채인 은농재(隱農齋)만 원형이 보존되고 다른 건물들은 중간에 개·보수를 하였다.
사랑채도 본래는 초가였다가 후에 기와를 얹은 것이다.
이 집은 사계선생이 만년에 머물면서 저술과 제자양성을 하던 곳이다.
그러므로 "은농재"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 집의 이름을 "사계고택"이라 함이 적절할 것이다.
이 곳은 사계 선생의 8째 아들인 두계(豆溪)공 김규(1606~1677)의 자손이 장자(長子)물림으로
대대로 살아온 집이며, 현재 사계 선생의 16대손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은농(隱農)"은 사계 선생 7世손의 호(號)이며, 문화재 지정과정에서 붙여진 이름에 불과하다.
대문 왼쪽의 광채는 사계 선생의 전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시관 내부
사계 선생 영정 아래에는 그를 조선 예학(禮學)의 태두(泰斗)로서 자리매김을 하게한, 그의 저서
"상례비요(喪禮備要)" "가례집람(家禮輯覽)" "의례문해(儀禮問解)" "전례문답(典禮問答)"등의 책이
놓여져 있다.
-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경학사상(經學思想) -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정통을 이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학문은 경학(經學)과 예학(禮學)이 그 중심을 이룬다.
사계(沙溪)가 생존하였던 당시는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정묘호란(1627),
인조반정(仁祖反正: 1623), 이괄(李适)의 난(亂: 1624) 등의 내우외환(內憂外患)으로,
정치적・사회적 혼란과 경제적 궁핍이 극심하였던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사계(沙溪)는 이욕(利慾)추구로 치닫는 가치관의 동요와 국가
사회의 질서와 기강의 해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예학(禮學)에 관심을 기울였다.
『상례비요(喪禮備要)』『가례집람(家禮輯覽)』『의례문해(儀禮問解)』
『전례문답(典禮問答)』의 저술도 사계(沙溪)의 이러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자(朱子)의 가례(家禮)와 고금(古今)의 의례(儀禮)를 참고하여 정밀한 분석과 고증을
통하여 예(禮)의 본질을 규명하고, 당시 상황의 시속(時俗)을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실용적이고 주체적인 예(禮)를 모색하여 올바른 규범과 정통성의 확립으로 국가와
사회의 질서를 세우고자 하였던 것이다. 오석원(성균관대학교 유학과 조교수)
사계고택의 축소모형판
사계가(沙溪家)를 있게 한 양천 허씨(陽川 許氏)의 일화를 그린 그림
양천 허씨 부인은 조선조 대사헌 허응(許應)의 딸로 재덕을 겸비했다.
형조판서(刑曹判書) 김약채의 큰아들 김문(金問)과 혼인하였으나,
김문이 과거에 급제하여 한림원의 벼슬을 지내다가, 조선 태조
2년에 사망하고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되니, 그 당시 허씨부인의 나이는 불과 17세였다.
김문이 사망하자 친가의 부모는 청상과부가 된 딸의 가엾은 생활을 안타깝게 여겨 다른 집으로
개가시키려 했다.
이를 눈치 챈 부인은 그 길로 개성의 친가를 떠나 시댁인 연산 고정리까지 500리
를 걸어 내려왔다.
허씨부인이 산길을 걸어올 때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서 지켜주었는데,
시댁에 무사히 도착하자 사라져 버렸다는 것이다.
허씨부인이 시부모를 모시며 유복자를 키우는 그 정성이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다.
허씨부인이 잉태하여 유복자로 태어난 아들은 김철산(金鐵山)으로 후에 사헌부 감찰이 되었다.
아들을 훌륭히 길렀고 종신토록 수절하니 세종대왕이 장한 행실을 듣고 정려(旌閭)를 명하였다.
허씨부인 43세때 였다. 명정(命旌)은 사후에 내리는 것이 통상례이나 이는 특수한 사례였다.
김철산은 좌의정(左議政)에 이르고 광산부원군이 된 김국광(金國光)과 청백리 우참찬(右參贊)
김겸광(金謙光) ,김정광(金廷光),김경광(金景光)등 아들 4형제를 낳아 이 곳에서 광산 김씨가
번영하는 계기가 되게 하였다.
양천 허씨 부인의 정절과 열행은 세조1년 79세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 사실을 안 세조(世祖)는 정경부인의 시호를 내렸다.
김국광의 5대손이 김장생이며 그의 아들이 신독재 김집이다.
부자가 예학의 태두로 문묘에 배향되었으니 유일무이하다.
이들 부자의 문하에 있던 송준길, 송시열 등이 다시 문묘에 배향되니
동국18현 중 4명이나 해당되는 인연이 닿게 만든 것이다.
대문 오른쪽의 광채는 예절교육관으로 학생과 일반인들이 예절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사당의 구조는 독특하다. 정면 한 칸, 측면 한 칸의 맞배지붕으로 구성된 자그마한
사당으로서 일반 사당과는 달리 바닥이 지상에서 떠있는 마루구조로 되어 있다.
대부분의 사당은 바닥이 흙이거나 전으로 깔려 있고 마루구조라고 해도 대부분
벽체가 땅까지 내려와 있어 일반 집과 같은 구조이지만 이 사당은 마루하부가 들어
올려져 있어 마치 누각처럼 느껴진다.
또한 기둥을 받치는 초석도 기둥과 같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화려한 단청을 올려 규모
는 작지만 매우 공을 들인 흔적이 역력하다. 지어진 시기는 그리 오래된 것 같지 않지만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어서 관심을 끄는 사당이다.(한국의 재발견 중에서)
배향공간과 생활공간의 경계
사당,장독대,아파트 그리고 아쉬움.....
안채와 안사랑채에도 기둥마다 주련이 걸려있다.
흰 바탕에 검은 글씨의 "정부인 순천김씨(貞夫人 順天金氏)"란 주련이 이채롭다.
고택은 사계 선생이 55세되던 1602년(선조35)에 건립하여 사계 선생과 정부인 순천 김씨가
거주하던 곳이다.
사계 선생은 19세에 창녕 조씨와 혼인하였으나 39세에 사별하고,41세에 6진을 개척한 조선의 명장
김종서(金宗瑞)의 7세(世)후손녀인 순천 김씨부인을 맞이하였다.
순천 김씨는 사계선생이 세상을 떠난 후 애통해하며 지내다가 자결하여 남편의 뒤를 따랐다.
이에 1906년(광무10)에 열녀 명정을 받았다.
은농재의 처마
용마루에는 임인(壬寅) 9월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다.
개.보수를 한 시기를 표시한 것이란 짐작이다.
안 사랑채
담장 밖 구화정(九花亭)앞의 철쭉.
3,000여 평의 대지중 담장 밖에는 연못과 누각을 비롯한 나무들로 정원을 아름답게 꾸며놓았다.
봄이면 이곳은 철쭉의 붉은 빛으로 물든다.
별채의 봄...(문화재청자료)
사계고택의 또 다른 특징은 별채다. 담 밖에 별도로 지은 별채는 신접
살림을 위한 집으로, 갓 시집온 새 며느리가 얼마간 생활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별채의 활용은 매우 흥미로운 부분으로 시집에 적응하는 기간
동안 반독립생활을 했다는 것은 다른 가문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매우 파격적이면서 진보적인 생활 방식이다. 서로 다른 생활 환경
속에 살아온 새 식구에게 가문에 적응하면서도 신접살림의 즐거움을
만끽하도록 배려한 광산 김씨가문의 지혜가 엿보이는 공간이다.
(한국의 재발견 발췌)
누각인 구화정(九花亭)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연못과 함께 여러종류의 꽃을 보며 감흥에 젖을
수 있는 곳이다.
구화정에서 본 모습
사계 선생을 문묘에 제사하도록 숙종43년(1717)에 내린 교지
충남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것을 영인본으로 보관중이다.
사계 선생의 학문과 사상이 국가사회에 크게 기여하였고, 특히 예학의 대가
로서 인간생활의 도덕성 확립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 문묘에 배향하라는
내용이다. 크기가 가로 6.3m 세로88cm로 총624자를 48줄로 수록함
[사계선생의 계비인 순천김씨의 사당과 정려를 방문]
사계선생의 계비인 순천김씨의 사당과 정려를 방문했다. 이곳은 계룡IC에서 나와 약 3km직진하여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면 좌측편에 있다. 이곳 방문전에 개령공할아버지 묘소를 4번째로 방문했다. 개령공묘소 방문사진은 아직 입수하지 못하여 추후 입수하는 대로 쓰려고 한다.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즉위하기 위하여 가장 걸림돌이 되는 김종서장군을 죽이고, 후환을 없애려 그 가족까지도 죽였으나 종의 아들이 대신 죽어 살아남아 몰래 대를 이어온 6대손 김수언은 자신의 조상을 복원할 수 있는 사람은 사계선생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딸 순천김씨를 상처한 사계선생에게 결혼하라고 하여 사계선생과 혼사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 순천김씨는 결혼한지 3년이 지나 이 사실을 사계에 알렸다고 한다. 그러나 단종이 복위하지 못하였는데, 어떻게 김종서를 복위할 수 있겠느냐고 했다고 한다. 그가 돌아가자 나라에서는 모범이 되는 행실이라고 정려를 짓고 그의 정신을 찬양했다.
아래 글에서 보듯이 사계선생이 돌아가시 자 더 이상 할일이 없다며 먹지 않고 죽었다니 참으로 대단하다고 할가? 아니면 독한 사람이라고 할 가? 보통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이다. 그 당시 유교가 중심인 사회에서는 여필종부는 충, 효와 함께 최고의 가치를 두었으니, 지금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정려가 보이고, 묘는 소나무에 가려 잘 보이지 않으나 묘와 정려 사이에 6차선의 큰 길이 나 있다.
순천김씨를 제사지내는 사당이다.
정려의 비각에 쓰인 글이다. 사계선생의 계배(상처 한 후 얻은 처) 효 열부라고 하였다. "남편에게 효를 죽도록 한다"는 열부이니, 지금으로는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삶이 추구하는 가치도 세월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여기에서 확인하게 된다.
'한국 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생 홍랑과 최경창의 사랑 (0) | 2012.07.18 |
---|---|
고려후기의 사회와 문화 /이암이 원의 농서 농산집요를 간행 (0) | 2012.07.18 |
예학의 종장 사계 김장생선생의 제자 송시열편... (0) | 2012.07.18 |
조선시대 역관과 인삼에 얽힌 사연 (0) | 2012.07.13 |
겸재 정선 (0) | 2012.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