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한시] 봄날 성산에서
조선일보/오피니언/안대회 성균관대 교수 한문학
입력 : 2013.03.28 23:02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303/28/2013032802450_0.jpg)
봄날 성산에서
누가 우리 살림살이 가난하다더냐?
봄 되면 모든 것이 기이한 것을.
산에서는 붉은 비단 병풍을 치고
하늘은 푸른 비단
휘장을 친다.
바위 스치자 소맷자락에서 구름이 피어나고
술잔을 드니 달빛은 잘람잘람 넘친다.
옛 책을 읽는 것이 으뜸가는
멋
그 좋다는 고기 맛도 잊어버린다.
春日城山偶書(춘일성산우서)
誰謂吾生窶(수위오생구)
春來事事奇(춘래사사기)
山鋪紅錦障(산포홍금장)
天作碧羅帷(천작벽라유)
拂石雲生袖(불석운생수)
呼樽月滿危(호준월만위)
古書還有味(고서환유미)
芻豢可忘飢(추환가망기)
―김성일(金誠一·1538~1593)
선조 때의 명신 학봉(鶴峰) 김성일이 1587년 50세에 지었다. 그전 해 연말에 벼슬에서 물러난 학봉은 안동 서쪽의 낙동강 가에 있는 청성산(靑城山)에 머물렀다. 호사스러운 생활 뒤의 공허함과 우울함이 찾아왔다. 그러나 그 기분 오래가지 않았다. 봄이 찾아오자 모든 것이 의욕을 일깨운다. 산은 붉은 꽃을 병풍처럼 두르고, 하늘에는 비취빛 휘장을 드리운다. 아침 되어 산에 올라 팔을 휘두르면 구름이 피었다가 흩어지고, 밤 되어 술잔을 들면 달빛이 넘쳐 쏟아질 것만 같다. 공직에서 벗어나자 자연의 하나하나가 더 신기하고 더 새로워 보인다. 책을 읽는 맛이 물리게 먹던 고기 맛보다 더 좋다는 것도 알게 됐다. 힘들게 사는 것처럼 보이는가? 오히려 그 반대다. 봄철의 모든 것이 새롭다.
![]()
春來事事奇(춘래사사기) 봄 되면 모든 것이 기이한 것을.....山鋪紅錦障(산포홍금장) 산에서는 붉은 비단 병풍을 치고.....
天作碧羅帷(천작벽라유) 하늘은 푸른 비단 휘장을 친다.....拂石雲生袖(불석운생수) 바위 스치자 소맷자락에서 구름이 피어나고...
呼樽月滿危(호준월만위) 술잔을 드니 달빛은 잘람잘람 넘친다.봄은 기이하여...붉은비단 병풍 친 산과 푸른비단 휘장을 친 하늘...바위에 오르면 구름이 피어나고...술잔에 달빛은 넘친다.
- 2013년 4월1일 월요일...수산나 -
용산 국립박물관 전경 1
용산 국립박물관 전경 2...남산타워가 보이네요...ㅎㅎ...^-^
용산 국립박물관 전경 3...남산타워 보이고...청자정이 우측에 있습니다...ㅎㅎ...^-^
용산 국립박물관 전경 4...청자정과 연못을 중심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ㅎㅎ...^-^
용산 국립박물관....청자정과 연못의 다리...^-^
'시·시조·성가·기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슴으로 읽는 시조] 감자에 관한 비유-박연옥(1959~)/봄에 피는 식물들 11장 (0) | 2013.04.01 |
---|---|
[가슴으로 읽는 시] 아버지의 쌀―우대식(1965~ )/성남 3.1운동 기념공원 3장 (0) | 2013.04.01 |
[가슴으로 읽는 동시] 기린의 목-박방희 (1946~ )/어린이대공원 동물원풍경 등 5장 (0) | 2013.03.25 |
[가슴으로 읽는 시조] 봄빛 밥상―이승현(1954~ )/동강할미꽃 3장 (0) | 2013.03.22 |
[가슴으로 읽는 시] 새우젓―윤후명(1946~ )/ 제백석 자료 3개 및 노란띠좀잠자리 1장 (0) | 201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