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16일(일) 오늘의 글/시
🙋♂️마지막 10년을 함께 할 친구여👩❤️👨 당신은 인생의 마지막 10년을 함께 할 친구가 있습니까 ? 대만에서 "미래의 노후" 라는 주제로 웹 영화가 많은 네티즌의 공감을 샀다고 합니다. 영화속 줄거리는 산속에서 혼자사는 노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네명의 자식들은 모두 장성해 교수가 되었거나 해외에 나가 사업를 하고 있고, 노인만 자식들이 모두 떠난 산골집에서 혼자 살아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아들과 손자가 멀리서 찾아 온다는 소식에 그는 정성껏 맛있는 음식들을 준비합니다. 하지만..., 곧이어 오지 못한다는 전화를 받게되고, 준비했던 음식들은 주인을 잃고 맙니다. 이때, 창밖의 하늘마저 우중충해지고. 노인은 친구를 불러 함께 식사 할 계획을 세웁니다. 하지만, 누렇게 색이 바랜 낡은 수첩을 한참 동안 뒤적거려도 함께 식사할 만한 친구를 찾지 못합니다. 마침내, 창밖에서는 비가 쏟아져 내리고, 결국 노인은 부엌 식탁에 앉아 가득 차려진 음식을 홀로 먹게됩니다. 마지막 장면 위로, "인생의 마지막 10년을 함께할 친구가 있습니까?" 라는 자막이 흐릅니다. 대만 최고 베스트셀러 작가 우뤄취안 著, "우리는 그렇게 혼자가 된다" 는 미래 나의 자화상은 어떤 모습이 될지 잠시 명상에 잠기게 합니다. 노후의 친구는 첫째 : 가까이 있어야 하고 둘째 : 자주 만나야 하며 셋째 : 같은 취미면 더 좋습니다. "회갑잔치가 사라지고,"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拾 古來稀)라는 칠순잔치도 사라진 지금, 인생백세고래희(忍生百世古來稀)가 정답이 된 바이야흐로 초고령화 시대 ! 60대는 노인 후보생으로 워밍업 단계요, 70대는 초로(初老)에 입문하고, 80대는 중노인(中老人)을 거쳐, 망백(望百)의 황혼길로 접어들고, 이후 부터는 누구나 순서없이 어둠속으로 사라지는 인생, 장수(長壽)가 좋기는 하나..., 아족부행(我足不行) : 내발로 못 가고, 아수부식(我手不食) : 내 손으로 못 먹고, 아구부언(我口不言) : 내 입으로 말을 못하고, 아이부청(我耳不聽) : 내 귀로 못듣고. 아목부시(我目不視) : 내 눈으로 못 본다. 이렇게 된다면 살아도 사는게 아니요, 죽을맛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첫째도 건강, 둘째도 건강, 셋째도 건강, 건강이 최고의 가치이지요. 결코, 젊은 날로 돌아갈 수는 없고, 다시한번 더 살아 볼 수도 없고, 한번살다 끝나면 영원히 끝나는 일회용 인생인데, *오늘 하루 무탈하게, 긍정의 힘으로 건강 잘 챙기시고, 마지막 10년을 함께할 친구가 있는지 살펴보시고, 그 친구 만나서 이러쿵 저러쿵 정담나누며, 즐겁게 활짝웃는 그런 한 때를 만들어 갑시다. ♡오늘도 10년을 같이 할 사람을 생각하며 상념에 잠긴다~^^ |
🏡 半은 天國 半은 地獄 ''아름다운 꽃도 같은 종류만 모이면 질린다" -엄상익 변호사 법원 근처에서 30년 넘게 살면서 변호사로 법의 밥을 먹어 왔다.칠십 고개를 넘으면서 밥벌이를 졸업하고 마지막 거처를 어디로 할까 생각했다 도심 속에서 살던 대로 마지막까지 존재하는 방법이 있었다. 친한 친구 들과 모여 수다도 떨고 놀이도 같이 하면서 여생을 즐기는 방법이다. 두 번째가 실버타운이고 세 번째가 바닷가에서 혼자 사는 것이다. 나는 지난 2년간 살던 실버타운을 나왔다 시설에 대해서는 만족했다. 바다가 보이고 편의시설을 갖추었으면서도 비용이 저렴했다. 남들에게 보여 주기 위한 화려함보다는 절제되고 소박하다고 느꼈다. 직원들에게서도 상업적인 미소가 아니라 진심을 느끼기도 했다. 일하는 사람들이 종교인들이기 때문인 것 같다. 그들은 일이 수도생활 이라고 했다. 감사했다. 다만 문제는 이웃과의 소통이었다. 얼마 전 일본 실버타운에 있던 일흔일곱 살의 히라노 유우 씨가 쓴 글을 봤다. 핵심 내용은 이랬다. 그는 럭셔리 실버타운을 보고 반했다. 바다가 보이는 22층 건물이었다. 그는 첫 1년은 마치 천국에 온 기분이었다. 하지만 점점 일상의 무게에 짓눌렸다. 그가 보는 주위 사람은 대부분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었다. 그는 다른 노인들과 지적인 대화를 기대했지만 착각이었다. 대부분이 잘된 자식이나 재산 그리고 왕년의 전직을 자랑했다. 그들의 천박함에 스트레스가 쌓여 갔다. 유명 셰프가 만든 음식을 매일 먹었지만 질려버렸다. 그는 지역 커뮤니티에 눈을 돌려보았다. 그러나 지역 주민은 고급 실버타운에 살고 있는 외지인에게 배타적이었다. 방에 틀어박혀 외롭게 지내는 날이 늘었고 우울증이 찾아왔다. 감옥살이를 하면서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것 같았다. 결국 그는 실버타운 생활을 청산하고 도시로 유턴을 했다. 그는 나이가 들어도 남녀노소가 모여있는 곳에서 사는 게 좋다고 했다.건강한 노인이 비싼 돈을 내면서 노인들만 모여 사는 실버 타운에 들어갈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한국인인 나는 같은 칠십대인 일본인 히라노 유우 씨와 비슷한 경험을 했다. 실버타운을 나오게 된 동기도 비슷하다. 겉에서 보는 실버타운은 천국 같았다. 그러나 첫날 공동식당에 갔을 때 그 꿈은 바로 깨졌다. 식당의 공기는 어두운 회색이었다. 핏기가 없고 주름살이 가득한 노인들이 침묵 속에서 밥을 먹고 있었다. 밀차나 쌍지팡이를 짚고 오기도 하고 파킨슨 병에 걸린 노인이 혼자 힘겹게 밥을 먹고 있기도 했다. 나는 갑자기‘워킹 데드’라는 미국 드라마 속의 한 장면 속으로 들어온 것 같았다. 좀비 사회를 그린 드라마였다. 분명 그런 느낌이었다. 나의 경우는 음식이 점점 맞지 않았다. 주방을 맡은 여성이 정성들여 시골 집밥을 만들어 주었다. 노인들을 위해 자극적이지 않도록 국과 반찬을 만들었다. 그러나 맵고 짠 음식에 길들여져 버린 내게 그 음식들은 입에 맞지 않았다. 맞추려고 노력했지만 되지 않았다. 바깥에 나가 식당에서 사 먹는 때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소통이 힘들고 밥을 사먹으면 실버타운이 주상복합 아파트와 비슷하다는 생각이었다. 노인들에게 다가서면서 대화를 시도해 보았다. 90대의 한 노인은 그곳은 저승가는 중간의 대합실 이라고 했다. 죽으려고 그곳에 들어왔다는 노인들도 여럿이었다. 그들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삶이 다르고 인생관과 가치관에 차이가 많은 노인들은 소통할 공통의 소재가 없었다. 인격 미달의 노인도 보였다. 인간은 늙어도 변하지 않았다. 노인 한 명이 흙탕물을 일으키기도 했다. 자식들은 부모가 천국에서 사는 걸로 착각하고 오지 않지만 노인들에게는 외로움의 지옥일 수 있었다. 그들은 고독과 완만한 죽음이 있는 외따로 떨어져 있는 화려한 무덤가에서 사는 것 같았다. 아름다운 꽃도 같은 종류만 모이면 질린다.섞여 있어야 아름답다. 아무리 예쁜 꽃병이라도 시들어 버린 꽃들만 가득 꽂혀 있으면 추하고 서글프다. 실버타운에서 그런 걸 느꼈다. 이제야 그때가 좋았다는 걸 알았다. 어린 시절 손자 손녀들이 병아리떼 같이 오골거리고 아빠 엄마들이 있고 집안 어른으로 할아버지 할머니가 있었다. 설날이면 온 가족이 모여 할아버지 할머니에게 세배를 하고 떡국을 나누었다. 이제 그 시절이 좋았던 걸 깨닫는다.. 지금 와서 생각 해보니 모두 부질없더이다. 건강하던 친구도, 돈 많던 친구도, 출세했다던 친구도, 머리 좋다던 친구도, 멋쟁이 친구도, 지금은 모두 얼굴엔 주름살로 가득하고 방금한 약속도 잊어버리고 얇아진 지갑을 보이며 지는 해를 한탄하며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 가더이다. 가는 세월 누가 막을거고 오는 백발 어찌 막을건가. 청산은 날보고 티없이 살라하는데 어찌 티없이 살 수 있단 말이오. 청산은 날보고 말없이 살라하는데 어찌 말없이 살 수 있단 말이오. 그저 구름가는대로 바람부는대로 살다보니 예까지 왔는데 어찌.. 이제 모든 것이 평준화된 나이. 지난 날을 묻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알려고 하지도 말고, 따지지도 말고. 앞으로 남은 세월 만날 수 있을 때 만나고, 다리 성할 때 다니고, 먹을 수 있을 때 먹고, 베풀 수 있을 때 베풀고, 사랑할 수 있을 때 사랑하고, 봉사할 수 있을 때 봉사하고, 볼 수 있을 때 아름다운 것 많이 보고, 들을 수 있을 때 좋은 말 많이 하고, 듣고 그렇게 살다보면 삶의 아름다운 향기와 발자취를 남길 수 있지 않을런지~ 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입니다. 그리고 우리의 삶이 끝나고 호흡이 정지 되면 육체는 흙으로 돌아 가겠지요. 감사하며 기쁨으로 사는 것이 이 땅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행운이지요. 정말 인생(人生)80까지 살면 90점이고, 90살이면 100점이라고 평소(平素)에 공언(公言)해 온 것이 타당(妥當)함을 새삼 확인(確認)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화두처럼 여기는 평범(平凡)한 진실(眞實)을 다시 한 번 되새깁니다. 1.기적(奇跡)은 특별(特別)한 게 아니다. 아무 일 없이 하루를 보내면 그것이 기적이다. 2.행운(幸運)도 특별한 게 아니다. 아픈 데 없이 잘 살고 있다면 그것이 행운이다. 3.행복(幸福)도 특별한 게 아니다. 좋아하는 사람과 웃고 지내면 그것이 행복이다. 하루하루가 하늘에서 특별히 주신 보너스 같이 생각 됩니다. 오늘은 선물(膳物)입니다. 나에게 특별히 주신 선물 입니다. 오늘은 내가 부활(復活)한 날입니다. 어제 밤에서 다시 깨어났습니다. 70세(歲)부터는 하루 하루가 모두 특별히 받은 보너스 날입니다. 오늘을 인생의 첫날 처럼 사시기 바랍니다. 그리고,마지막 날처럼 즐기며 사십시요. 천국(天國)은 감사(感謝)하는 사람만 가는 곳 이랍니다. 건강(健康)하게 살아서 숨을 쉬고 있음이 엄청난 축복(祝福)이고 은총(恩寵)입니다. 부디 매일(每日)매일 매사(每事)에 감사(感謝)하며 즐겁고 행복(幸福)한 시간(時間)들로 항상(恒常) 기쁨이 충만(充滿)한 생활(生活)이 되시기 바랍니다. ^^♡♡ |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218 글/시]마음의 안경/말의 씨(윤태익) (0) | 2025.02.18 |
---|---|
[250217 글/시]조주청의 사랑방이야기 (423) 허황된 욕망/ 가장 무서운것! (0) | 2025.02.17 |
[250215 글/시]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422) 생과부가 과부가 되더니/딱 한 사람-정용철 (0) | 2025.02.15 |
[250214 글/시]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421) 이쓸개/날마다 일어나는 기적들(김홍신) (0) | 2025.02.14 |
[250213 글/시]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420) 오이란/저기 저 바위처럼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