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시조·성가·기도문

이 몸이 배가 되어―이항복(李恒福·1556~1618)/민속촌 나룻배 1장

 

이 몸이 배가 되어

나는 항상 소망하지
곡식 만 섬을 싣는 배가 되었으면,
배 안 넓은 곳에
다락을 세웠으면 하고

동으로 남으로 가는 나그네를
때가 되면 모두 건네주고
해 질 녘에는 무심히
두둥실 노닐었으면 하고.

―이항복(李恒福·1556~1618)

與守初(여수초) *호가 '수초'인 친구에게 준 시

 

常願身爲萬斛舟(상원신위만곡주)

中間寬處起舵樓(중간관처기타루)'''타' 나무 木변

時來濟盡東南客(시래제진동남객)

日暮無心穩泛遊(일모무심온범유)

 

조선일보/ 가슴으로 읽는 한시(2012.5.26)이다.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가 평을 했다.

 

백사(白沙) 이항복이 청년 시절에 지은 시다. 백사는 친구들과 강을 건너려고 배를 기다렸으나 며칠 동안이나 구할 수 없었다. 모두들 몹시 답답해하며 화를 낼 때 백사가 장난 삼아 이 시를 써서 그들을 달랬다.

'나는 큰 배가 되어 강을 건너고자 하는 모든 사람을 건네주고 그 뒤에 여유롭게 배를 띄우고 노는 게 꿈이야. 며칠 기다리는 정도 가지고 왜 이리 조바심들이냐?' 다른 사람들이 감정을 주체 못할 때 남과 사회를 위해 자기 몸을 던지는 희생과 인생의 여유까지 보여준다. 대인다운 풍모가 엿보이는 명작이다.

험한 세상을 건네주는 큰 배가 되겠다는 청년의 꿈은 뒷날 임진왜란이란 국난을 온몸으로 헤쳐가면서도 여유를 잃지 않은 큰 정치가로 실현되었다. 그 같은 큰 꿈을 꾸는 청년이 많은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항복 [李恒福]조선 문신 [1556] | 브리태니커

 

1556(명종 11)~ 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임진왜란 때 병조판서를 지내면서 많은 공적을 세웠으며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다. 본관은 경주(慶州). 일명 오성대감(鰲城大監). 자는 자상(子常),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 카테고리 [역사이야기/ 오성과 한음] 참조


 

민속촌 나룻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