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튜브·인터넷. 카톡

[유튜브] 나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언어 습관 7가지(2018.6.7.목)-힐링 우현진/은이성지 야생화 등 11장

[유튜브] 나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언어 습관 7가지-힐링 우현진

 

말 한마디로 평가되는 세상...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 있다. 말은 그만큼 중요하다.

대부분의 사람은 어떤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이 '말'이나 '말투'로 정한다.

 

그래서 아무리 화려한 겉모습을 가진 사람이라도,

말 한마디에 '돼지 목의 진주 목걸이'인 인간으로 치부된다.

 

이처럼 중요한 말!

특히 어떤 언어 습관 때문에 우리의 가치가 떨어질까? 

 

세련된 진행과 화법으로 각광받은 아나운서 출신의 방송인

백지연의 도서 <성공을 부르는 힘, 자기 설득 파워>에 따르면... 다음 7가지 언어 습관이 사람의 가치를 하락시킨다고 한다.

 

 1.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주어진 일을 하다보면 크고 작은 고난에 부딪치게 마련이다.그래서 누구나 고민은 한다.

그러나 고민하더라도 입밖으로 내색하지 말아야 한다.

고민이 되든 안 되든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일이다. 

 

정말 조언을 원해서 하는 고민거리가 아니라, 상습적으로 친하지도 않은 사람들 앞에서 고민을 풀어놓는 사람들이 있다.

이를 통해 '동정'은 받을 수 있겠지만, 결국 내 능력은 이것 밖에 안 된다고 광고하는 꼴이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묻고 본다.

모르는 것은 죄가 아니다. 또한 원활한 업무진행을 위해서라도 모르는 것이 있으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

잘 모르는데, 설명을 듣고도 이해하지 못했는데...무시 당할까봐, 쑥스러워서 등의 이유로 넘어가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더 큰 실수를 부를 수 있다.

모르는 것이 있다면...마음속에 진정 의문이 있다면 씩씩하게 물어보아야 한다.

 

그러나 질문의 내용이 사실 확인이 아닌 방법에 관한 것이라면...

생각도 해보기 전에 일단 묻고보자는 태도에 문제가 있다. 

무엇인가를 누군가에게 묻기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가지 이상 찾아보라. 질문은 그  뒤에 해도 늦지 않다.

질문의 절제 역시 당신의 능력을 인정받는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3. 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마라.

일이 잘 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자에게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안 풀리면 당사자 혹은 함께한 팀원에게 듣는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까지 포함될 수 있다.

 

4. '네'라고 답을 듣고도 설득하려고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마라.

정말 그래도 되는지, 그로인해 당신에게 돌아올 불이익은 없는지 등을 두고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재차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공감을 얻어야만 안심하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5. '죄송해요' 라는 말을 남발한다,

죄송하다는 말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는 말이다.

일처리 과정에서 만약 정말 당신의 잘못이 있다면 죄송하다는 애매한 말 대신

왜 그런 실수가 일어났는지,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상황부터 설명하고,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죄송하다'고 말하지 마라.

습관적인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말 "제가 해볼께요."

조직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될 때이다.

당신은 모든 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 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당신이 당신 업무 외적인 일에 자주 나선다면 조직은 그걸 당연시하게 된다.

무언가 당신이 그 일을 함으로써 당신에게 외적이든 내적이든 도움이 된다고 판단 될 때에만 나서라.

 

우선 당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분류해보자.

당신이 반드시 끝내야 하는 일.

당신이 하면 좋지만 반드시 하지 않아도 되는 일.

당신이 하지 않아도 되는 상관없는 일이 있을 것이다.

이중 세번째 업무는 머리 속에서 지워라.

제일 우선시해야할 것은 당연히 첫번째 일이다.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는 말이다.

두번째 업무는 첫번째에 가까우면서 당신에게 이로운 것을 가려서 취사선택하라.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조직은 각양각색의 사람이 모인 곳이다. 당연히 업무상 의견차가 있을 수 있고, 당신의 생각이나 행동이 상대의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에 대해 혹은 확신이 선 상태에서 일을 추진할 경우,

태클세력들에 대해 "왜요? 뭐가 잘못됐죠?"하고 되묻지 마라.

쓸데없는 감정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된다.

 

 -백지연의 자기 설득 파워 중에서 -

 

- 2018년 6월6일...수산나 -

 

 

뱀딸기(장미과)

 

골무꽃(꿀풀과)

 

양지꽃(장미과)

 

은이성지...십자가의 길 제1처

 

...십자가의 길 제1처

 

은이성지...성모상

 

층층나무

 

뽕나무...오디

 

은이성지...십자가의 길 제3처

 

....십자기의 길 제3처

 

젓가락나물(미나리아재비과) / 꿀풀(꿀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