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241119 글/시] 오늘을 위한 기도-이해인 /김장하 선생님 일화

2024년 11월19일(화) 오늘의 글/시

 





오늘을 위한 기도  
/  이해인 

기도로 마음을 여는 이들에게
신록의 숲이 되어 오시는 주님
제가 살아있음으로 살아있는
또 한번의 새날을 맞아
오늘은 어떤 기도를 바쳐야할까요?

제 작은 머리 속에 들어찬 수천 갈래의 생각들도
저의 작은 가슴 속에 풀잎처럼 돋아나는 느낌들도

오늘은 더욱 새롭고
제가 서 있는 이 자리도
함께 살아 가는 이들도
오늘은 더욱 가깝게 살아 옵니다.
 
지금껏 제가 만나 왔던 사람들
앞으로 만나게 될 사람들을 통해
만남의 소중함을 알고
삶의 지혜를 깨우쳐 주심에 거듭 감사드립니다.

 


오늘 하루의 길 위에서 제가 더러는 오해를 받고
가장 믿었던 사람들로부터 신뢰받지 못하는 쓸쓸함에
눈물 흘리게 되더라도
흔들림 없는 발걸음으로 길을 가는
인내로운 여행자가 되고 싶습니다.

오늘 하루 제게 맡겨진 시간의 옷감들을 
자투리까지 아껴 쓰는
알뜰한 재단사가 되고 싶습니다.

하고 싶지만 하지 말아야 할 일과
하기 싫지만 꼭 해야 할 일들을
잘 분별할 수 있는 슬기를 주시고
 
무슨 일을 하든지 그 일 밖에는 없는 것처럼
투신하는 아름다운 열정이 
제 안에 항상 불꽃으로 타오르게 하소서.

 제가 다른 이에 대한 말을 할 때는
사랑의 거울 앞에 저를 다시 비추어 보게하시고
자신의 모든 것을 남과 비교하느라
갈 길을 가지 못하는 어리석음으로
오늘을 묶어 두지 않게 하소서.
 
몹시 바쁜 때일수록
잠깐이라도 비켜서서 하늘을 보게하시고 
고독의 층계를 높이 올라
내면이 더욱 자유롭고 풍요로운 흰 옷의
구도자가 되게 하소서.

제가 남으로부터 받은 은혜는
극히 조그만 것이라도 다 기억하되
제가 남에게 베푼 것에 대해서는
아무리 큰 것이라도 잊어버릴 수 있는
    아름다운 건망증을 허락하소서  

 

 
오늘 하루의 숲 속에서 제가 원치 않아도
어느새 돋아나는 우울의 이끼, 욕심의 곰팡이,
교만의 넝쿨들이 참으로 두렵습니다.

그러하오나, 주님
이러한 제 자신에 대해서도 너무 쉽게 절망하지 말고
자신의 약점을 장점으로 바꾸어 가는
꿋꿋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게 하소서.

어제의 열매이며 내일의 씨앗인 오늘
하루의 일과를 끝내고 잠자리에 들 때는
어느 날 닥칠 저의 죽음을
미리 연습해 보는 겸허함으로
조용히 눈을 감게 하소서.

 "모든 것에 감사했습니다"
 "모든 것을 사랑했습니다"
 
나직이 외우는 저의 기도가
하얀 치자꽃 향기로
오늘의 저의 잠을 덮게 하소서.

< 이 해인>


🍃 줬으면 그만이지 

설연휴때 MBC방송에 전파를탄
김장하 선생님의 일화입니다
온갖 감사패 상을 마다 하시고
다큐멘타리 제작도 거부했지만 ..
역경끝에 세상에 알려지게 되어 소개올립니다

선생님은 열아홉에 한약업사 자격을 얻어 1963년 고향 사천에서 한약방을 개업했고 
10년 뒤 진주로 이전해 남성당한약방을 50년간 운영했습니다. 

한약방은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마이크로 순서를 호명할 정도였고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아 점심시간에는 빵을 나눠주기도 했고 전국 한약방 가운데 세금을 가장 많이 내기도 했습니다. 

선생님은 20대 젊은 시절부터 가난한 학생들에게 남몰래 장학금을 주기 시작하여 1,000명을 웃도는 학생들이 혜택을 보았고 40대에 100억 원이 넘는 돈을 들여 세운 사학
명신고등학교를 나라에 헌납하고

30억 원이 넘는 재산을 국립경상대학교에
기부했고 진주의 사회, 문화, 역사, 예술, 여성, 노동, 인권단체들을 지원했습니다. 

선생님은 명신고등학교를 설립 뒤 
이사장실을 없애고 양호실로 쓰도록 했고 
학교에 갈 때는 버스나 자전거를 타고 갔는데 
이사장이 자전거를 타고 학교 안으로 들어오는 모습은 학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선생님이 명신고등학교 이사장 퇴임식 때 하신 말씀입니다. 

"부끄러운 고백일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저는 가난 때문에 하고 싶었던 학업을 계속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과 같은 한약업에
어린 나이부터 종사하게 되어 작으나마 
이 직업에서는 다소 성공을 거두게 되었습니다. 
제가 본교를 설립하고자 하는 욕심을 감히 내게 되었던 것은 오직 두 가지 이유

즉, 내가 배우지 못했던 원인이 가난이었다면 
그 억울함을 다른 나의 후배들이 가져서는 안 되겠다 하는 것이고, 

그리고 한약업에 종사하면서
내가 돈을 번다면 그것은 세상의 병든 이들, 
곧 누구보다도 불행한 사람들에게서 거둔 이윤이었기에 그것을 내 자신을 위해 쓰여서는
안되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두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는 가장 좋은 일이 곧 장학 사업이 되었던 것이고 또 학교의 설립이었습니다." 

김장하 선생님을 취재한 
<줬으면 그만이지> 책 내용을 나눕니다. 

“똥은 쌓아두면 구린내가 나지만 흩어버리면 거름이 되어 꽃도 피우고 열매도 맺는다.
 돈도 이와 같아서 주변에 나누어야 사회에
꽃이 핀다.” 

“나는 그런 것 못 느꼈어. 
돈에 대한 개념도 그렇게 애착이 없었고 
그리고 재물은 내 돈이다는 생각이 안들고
언젠가 사회로 다시 돌아갈 돈이고 잠시 
내가 위탁했을 뿐이다. 
그 생각 뿐이야.
이왕 사회로 돌아갈 돈인 바에야 보람있게 
돌려줘보자 그런 거지.” 

​“맹자의 앙불괴어천하고 부부작이어인을
나의 생활신조로 삼고 있어요. 
풀이하자면 고개를 들어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고, 
고개를 내려 사람들한테도 부끄러울 게 없는 삶을 뜻한다." 

"스님이 그 눈보라가 치는 어느 추운 겨울날, 고개 마루를 넘어서 이웃마을로 가고 있습니다. 

저쪽 고개에서 넘어오는 거지 하나를 만납니다. 
곧장 얼어 죽을듯한 그런 모습입니다. 
저대로 두면 얼어 죽겠는데~ 

그래서 가던 발길을 멈추고 
자기의 외투를 벗어줍니다. 
자기 외투를 벗어주면 자기가 힘들 것이나 
지금 안 벗어주면 저 사람이 
금방 얼어 죽을 것만 같습니다. 

엄청난 고민 끝에 외투를 벗어준 것인데 
그 걸인은 당연한 듯이 받고는
그냥 가려는 겁니다.
그래서 이 스님이 기분이 나빠진 거에요. 

나는 엄청난 고민을 하고 벗어준 것인데 
저 사람은 고맙다는 인사 한마디 없구나 
싶은 것이죠. 
그래서 

“여보시오. 고맙다는 인사 한마디는 해야 할 것 아니오?”
했더니 그 걸인이 하는 말이, 

“줬으면 그만이지.
뭘 칭찬을 되돌려받겠다는 것이오?”

그래서 그 스님이 무릎을 칩니다.

아, 내가 아직 공부가 모자라구나. 그렇지, 
줬으면 그만인데 무슨 인사를 받으려 했는가. 

오히려 내가 공덕을 쌓을 기회를
저 사람이 준 것이니 내가 저 사람한테 
고맙다고 인사를 했어야지. 

왜 내가 저 사람한테서
인사를 받으려 한 것이냐.
탄식을 하면서 그 고개를 넘어왔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봉사를 할 때, 어떤 마음으로 봉사를
할 것인가를 느끼게 해 줍니다."

~옮긴글~

 

팔레놉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