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241213 글/시]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373) 유언/작은 소중함(원효대사)

2024년 12월13일(금) 오늘의 글/시

 

조주청의 사랑방 이야기 (373) 유언

매형 내외에게 집에서 쫓겨난 득구
부친의 영정족자 들고 암자 찾아가는데

큰 부자는 아니지만 먹고사는 데 아무 불편 없는 유 진사는 요즘 태산 같은 걱정이 생겼다. 시집간 외동딸이 석녀라고 2년도 안돼 시집에서 쫓겨나 보따리를 싸들고 친정으로 돌아와 제 방에 처박혀 한숨으로 나날을 보내는 것이다. 허구한 날 얼굴에 수심이 잔뜩 덮인 딸을 보는 것은 유 진사의 가슴을 갈기갈기 찢는 일이었다.

어느 날 백형의 장례를 치르느라 먼 길을 가 삼우제까지 지내고 열흘 만에 집으로 돌아와 조심스레 딸의 동정을 살폈더니 딸이 먼저 사랑방으로 와 큰집 초상 치른 일을 물었다. 얼굴이 훨씬 밝아졌다. 딸의 수심이 걷힌 기쁨이 백형의 저승행 슬픔을 지우고도 한참 남았다.

중복이 가까운 어느 날 밤, 마실 갔던 유 진사가 배탈이 나 일찍 집으로 왔더니 뒤꼍 우물가에서 총각집사가 윗도리를 훌렁 벗고 엉덩이를 치켜든 채 땅을 짚고 엎드렸는데, 유 진사 딸이 웃으며 등물을 퍼붓고 있었다. 유 진사는 몰래 뒷간에 갔다가 다시 집을 나갔다. 유 진사는 모른 척했다. 오륙년 데리고 있어보니 집사는 경우 밝고 영특했다. 시집에서 쫓겨난 무남독녀에 대한 걱정을 한결 덜고 나니 또 다른 걱정이 생겼다. 내가 죽으면 우리 집안 대(代)가 끊기는구나.

유 진사가 고갯마루 묵집을 찾는 발걸음이 잦아졌다. 나이 지긋한 할매가 청상과부를 데리고 묵도 쑤고 탁배기도 걸렀다. 유 진사가 혼자 갈라치면 할매와 대작을 했다. 서로 신세타령을 하느라 해 지는 것도 몰랐다. 이제 마흔 고개에 올라선 유 진사가 대가 끊기는 걸 그렇게 걱정하는 걸 보다 못한 할매가 어느 날 부엌데기 청상과부를 설득했다. 찢어지게 가난한 친정어머니를 모시고 겨우 젖을 뗀 아들과 묵집에서 주는 쥐꼬리만 한 월급으로 세식구가 살아가려니 죽을 지경인데, 설상가상 아들을 돌봐주는 친정어머니가 병석에 누웠는데도 약 한첩 못 쓰고 있었다.

계속 고개를 젓던 청상과부가 돈이 목을 조여오자 마침내 두손을 들고 말았다. 할매가 자리를 피해주면 유 진사가 청상과부의 옷고름을 풀었다. 한해가 지났다. 유 진사가 젖도 안 뗀 아들을 안고 집으로 왔다. 다행히 유 진사의 딸도 딸을 낳아 한쪽 젖은 제 딸에게 물리고 다른 한쪽 젖은 배다른 남동생에게 물렸다. 유 진사 딸은 석녀가 아니고 신랑이 씨 없는 수박이었다.

어느 해인가, 유 진사의 아들이 젖을 떼고 서당에 다니며 천자문을 공부할 때 유 진사가 쇠뿔에 받혀 급살당하고 말았다. 그로부터 열두해가 흘러 유 진사 아들 득구는 열일곱살이 됐다. 유 진사의 딸은 아들딸 넷을 거느리고 유 진사 생전의 집사였던 신랑, 오 서방과 알뜰살뜰 살아가고 있었다.

어느 날 밤, 사랑방에 술상을 차려놓고 오 서방이 득구를 불렀다. “매형, 불렀어요?” “그래, 얘기 좀 하자.” 결론은 논문서 다섯개를 내놓으며 그걸 가지고 이집을 나가 자립하라는 것이었다. 안방에 있는 누이를 찾아가 “누님도 같은 생각이세요?” 묻자 누이는 눈물을 떨구며 대답을 못했다.

이튿날 득구는 사랑방에 걸려 있는 유 진사 영정족자를 돌돌 말아 단봇짐에 넣고 지필묵과 잡동사니를 챙겨 집을 나섰다. 득구가 찾아간 곳은 산속 조그만 암자 무실암이다. 선친의 곡차 친구였고 가끔 탁발하러 오는 송하스님의 암자다. 스님에게 삼배를 올린 후 논문서 다섯개를 내놓으며 “스님, 이걸 팔아 쓰러져가는 암자를 보수합시다. 소인 여기 머물도록 행자로 받아주십시오” 하고 말했다. 득구는 요사채에 방 하나를 잡고 맨 먼저 유 진사의 영정족자를 걸고 그 앞에 엎드려 흐느꼈다.

어느 날 요사채 득구 방에 들어온 스님이 유 진사 영정을 뚫어지게 들여다보더니 그걸 벗겨 가지고 나갔다. 며칠 후 득구의 매형 오 서방한테 사또로부터 호출장이 날아왔다.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송사가 벌어진 것이다. 원고는 득구였다. 득구는 자신도 모르게 송사에 휘말렸다.

동헌 마당에 원고 득구와 피고 오 서방이 마주섰다. “으흠 으흠. 어찌하여 아들을 쫓아내고 네가 유 진사의 재산과 집을 차지하였는고?” 사또가 묻자 오 서방이 서슴없이 “생전에 유 진사께서 시집에서 쫓겨온 외동따님을 제게 맡기며 어린 처남이 열일곱이 될 때까지 잘 돌봐달라 하셨습니다. 처남은 제 처의 젖을 빨아먹고 자랐고, 이날까지 유 진사의 유지를 받들어 훌륭한 청년으로 키웠습니다”하고 답했다. 
*
*
*
*
*
그때 송하 스님이 나타나 “유 진사는 유서를 남겼습니다”라며 유 진사의 영정족자를 펼쳤다. “유 진사의 오른손 직지가 가리키는 곳은 족자봉입니다. 이걸 뜯어보겠습니다.” 스님이 족자봉을 뜯어내자 동그랗게 감긴 종이가 나왔다. “득구는 열일곱이 되거든 장가를 가고, 누이는 논 서른마지기를 가지고 오 서방과 세간을 나도록 하라.” 송사는 그걸로 끝났다.

 

백량금

작은 소중함
 
 
옷을 짓는 데는
작은 바늘이 필요한 것이니
비록 기다란 창이 있다고 해도 소용이 없고


비를 피할 때에도
작은 우산 하나면 충분한 것이니
하늘이 드넓다 하더라도
따로 큰 것을 구할 수고가 필요없다.

그러므로 작고 하찮다 하여
가볍게 여기지 말지니
그 타고난 바와 생김 생김에 따라
모두가 다 값진 보배가 되는 것이다.

 
- 원효대사 

 

군자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