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26일(일) 오늘의 글/시
설날에는 왜 떡국을 먹을까요?
"설날에는 떡국을 먹어야 한살을 더 먹는다."
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이렇게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떡국에 넣는 가래떡의 모양과 색을 생각하면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인 만큼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뜻에서
깨끗한 흰 떡국을 끓여 먹었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기다란 가래떡 모양은
그 길이 만큼이나 무병장수를 의미하는 동시에
재산이 쭉쭉 늘어 나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또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이유는
둥근 모양이 마치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기에
새해에 풍족 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담은 것이라고 하는군요.
🌸 지혜로운 사람은 🌸
참기 어려움을 참는 것이
진실한 참음이요
누구나 참을 수 있는 것을 참는 것은
일상의 참음이다.
자기보다 약한 이의 허물을
기꺼이 용서하고
부귀와 영화 속에서
겸손하고 절제하라.
참을 수 없는 것을 참는 것이
수행의 덕이니
원망을 원망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성내는 사람 속에서
마음을 고요히 하여
남들이 모두 악행 한다고
가담하지 말라.
강한 자 앞에서 참는 것은
두렵기 때문이고
자기와 같은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은
싸우기 싫어서이며
자기보다 못한 사람 앞에서 참는 것이
진정한 참음이다.
욕설과 헐뜯음을 못 참는 것은
어리석음이니
돌가루를 두 눈에 넣는 것 같고
욕설과 비방을 잘 참음은
지혜로움이니
코끼리 등 위를 화려하게
꾸밈과 같다.
욕설과 비방으로는
지혜로운 이를 어찌하지 못함은
큰 바위에 폭우가 쏟아져도
부서지지 않음과 같아
비방과 칭찬 괴로움과
즐거움을 만나도
지혜로운 사람은
흔들리지 않는다.
사실이 그러해서 욕을 먹으면
그것이 사실이니 성낼 것 없고
사실이 아닌데도 욕을 먹으면
욕하는 사람이 스스로
자신을 속이는 것이니
지혜로운 사람은
어느 때나 분노하지 않는다.
-잡보장경 中-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128 글/시] 설날/ 어느 시골 본당 신부님의 이야기 (0) | 2025.01.28 |
---|---|
[250127 글/시]여기 세뱃돈 마련했어요/ 有短取長(유단취장) (0) | 2025.01.27 |
[250125 글/시]"禁備嶺(금비령)"/젊게 사는 老人들의 共通點 (0) | 2025.01.25 |
[250124 글/시]영리한 아흔살 노인-엄상익 변호사 / 긴급 알림 ! 독감! (2) | 2025.01.24 |
[250123 글/시] 윤극영 창작동요/할아버지와 안경 (1)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