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250128 글/시] 설날/ 어느 시골 본당 신부님의 이야기

2025년 1월28일(화) 오늘의 글/시

 

 

 

 

설날 

 

원단(元旦), 세수(歲首), 연수(年首)라고도 하며, 

음력 정월 초 하루를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설은 한자로는 신일(愼日)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근신하여 경거망동을 삼가한다"는 뜻이다. 

 

묵은 1년은 지나가고 설날을 기점으로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데 

1년의 운수는 그 첫날에 달려 있다고 생각했던 탓이다. 

 

설날의 세시풍속은 매우 다양하다. 

설날이 다가오면 섣달 그믐날 자정이 지나자마자

복조리장사들이 복조리를 한 짐 메고 다니면서

이것을 사라고 외쳐댄다. 

 

각 가정에서는 1년 동안 필요한 수량만큼의

복조리를 사는데, 일찍 살수록 좋으며

집안에 걸어두면 복이 담긴다고 믿는다. 

 

새벽에는 거리에 나가 처음 듣는 소리로

한 해 운수를 점치는 

청참(聽讖)을 행하기도 한다. 

 

설날 아침에는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해둔 새 옷으로 갈아입는데

이 새 옷을 설빔이라 한다. 

 

아침에는 가족 및 친척들이 모여들어

정초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두 모여

오붓하게 지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순서를 따져 세배를 올린다.

떡국으로 마련한 세찬(歲饌)을 먹고

어른들은 세주(歲酒)를 마신다. 

 

세찬이 끝난 후에는 차례상에서 물린 

여러 명절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음복(飮福)이 마련된다.

 

아이들에게는 세뱃돈을 주며 

덕담을 나누고 한해의 운수대통을 축원해준다. 

이웃 및 친인척을 찾아서 세배를 다니는 일도

중요한 풍습이다.

 

이 날은 윷놀이, 종정도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같은

민속놀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 김정균 (자료수집)


 

 

어느 시골 본당 신부님의 이야기

 

나는 본당 신부로서라기보다는

자식 노릇 하면서 살고 있는 셈이다.

 

농촌에서 희망을 찾지못한 젊은이들이

너도나도 도시로 떠나자

차마 문전옥답을 버릴 수없는 노인들만

집을 지키면서 살아가기 때문이다.

 

비록 이런 상황이긴 하지만

부임 초기에는 그래도 성가도 가르치고

반모임과 성서공부를 시키면서까지

재교육을 해봤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1년에 20명 세례를 주면 30명 이상이 이사를 가버리고

주일 헌금도 10만원 내외 교무금은 한달에

천원 2천원씩 내는 상황이라

애초에 본당사목 방향을 바꾸기로 했다.

 

그래서 본당의 실정에 맞게

할아버지 할머니 교우들을 위해서

본당 신부로서보다는

자식 노릇을 하며 살기로 한 것이다.

 

그후로 홀로 지내는 노인들이 아프기라도 하면

어떤 자식들 보다도 먼저 달려가

병원에 입원도 시켜드리고

설명절에는 과일이나 고기를 사가지고 방문도 한다.

 

외지로 나간 자식들이 오지 않는다고

섭섭해 하는 할머니에게는

넉넉하지는 않지만 용돈도 드리고

위로도 드린다.

 

1년에 두번 온천 효도관광을 시켜드리고

작년에는 제주도까지 효도관광을 다녀왔다.

 

이렇게 해서 성당에 다니는 것이 유일한 낙인

노인교우들에게

본당은 노후의 안식처이자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있다.

 

그러다 보니 쓸쓸하게 지내던 노인 교우들의 얼굴에

생기가 돌고 삶에 활기가 넘친다.

이제야 나는 본당 신부로서

제 역할을 찾았다는 생각이 든다.

 

비록 신자들이 늘어나지는 않더라도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신나게 사는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도 본당 신부는

지역과 시대의 특성에 맞게 사목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을

조금이나마 체험하게 되었다

 

이제 교우들은 물질이 풍족하거나 부족하거나

정신적으로 자신들과 함께

더불어 사는 목자를 바라고 있다.

 

예수님은 이미 "내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

나는 내 양들을 알고 그들은 나를 따라온다."라고

목자상을 가르쳐 주시지 않았는가.

 

- 야곱의 우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