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

2010년3월 폭설이 내린 청계사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2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변 식당 주변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산 설경 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산 설경 2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3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4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5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산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6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7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8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9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10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설경 1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주차장 사찰버스와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입구 계단과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2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3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4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5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6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7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8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9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선불장과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지장전과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삼성각 계단과 설경 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동종(보물 제11-7호)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삼성각 계단과 설경 2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삼성각 계단과 설경 3

 

2010-03-10 폭설이 내린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지장보살입상과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종각과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삼성각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삼성각과 설경

 

의왕 청계사 동종 안내문

 

의왕 청계사 동종 윗부분의 용조각

 

의왕 청계사 종각과 설경

 

의왕 청계사 삼성각 설경

 

의왕 청계사 극락보전과 설경

 

의왕 청계사 선불장과 설경

 

의왕 청계사 선불장과 설경

 

의왕 청계사 선불장과 청계산 설경

 

의왕 청계사 와불과 설경

 

의왕 청계사 와불과 설경

 

의왕 청계사 극락보전 측면 설경

 

의왕 청계사 계단 사천왕상과 설경

 

의왕 청계사 계단 사천왕상과 설경

 

의왕 청계사 안내문

 

의왕 청계사와 청계산 설경

 

의왕 청계사와 청계산 설경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1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2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3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4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5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6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7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8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9

 

2010-03-10 폭설이 내린 청계사 진입로 주변 설경 10

유형 : 유적

시대 : 고대/남북국

성격 : 절, 사찰

건립시기/연도 : 신라시대

소재지 :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산 11

정의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청계산 남쪽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2교구 본사인 용주사 (龍珠寺)의 말사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대찰의 모습을 갖춘 것은 1284년(충렬왕 10) 시중 조인규(趙仁規)가 막대한 사재를 투입하여 중창하고 그의 원찰로 삼은 뒤부터이다. 그때부터 이 절에는 100명이 넘는 수도승이 상주하였다. 자손들이 여기에 그의 사당을 짓고, 전장과 노비를 두어 대대로 제사를 지냈다.

1407년(태종 7) 조정에서는 이 절을 자복사(資福寺)로 지정하고 천태종에 소속시켰으며, 1431년(세종 13) 조인규 영당을 중건하였고, 연산군이 도성 내의 사찰에 대한 폐쇄령을 내렸을 때 이 절은 봉은사(奉恩寺)를 대신하여 선종본찰(禪宗本刹)의 기능을 행하는 정법호지도량(正法護持道場)이 되었다. 광해군 때는 이 절의 소속 전장과 노비를 모두 관에 소속시켰고, 1689년(숙종 15) 3월 화재로 모든 건물이 불탔을 때 성희(性熙)가 중건하였다. 1761년(영조 37) 정조가 동궁으로 있을 때 이 절에 원당을 설치한 뒤 밤나무 3,000주를 심고 원감(園監)을 두었으며, 1798년(정조 22) 조무의(趙武毅)의 시주로 중창하였다. 1876년(고종 13) 3월 26일 실화로 수십 칸의 건물이 소실되자 4년 후인 1879년에 음곡(陰谷)이 중건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종교 탄압정책으로 겨우 명맥만을 유지하여 이어 오다가 1955년 비구니 아연(娥演)이 주지로 취임한 뒤 중창을 시작하였고, 월덕(月德)·탄성(呑星)·월탄(月誕) 등이 그 뜻을 이어 당우를 회복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산신각·종각·수각(水閣)·봉향각(奉香閣)·대방(大房) 등이 있다. 이 중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양식으로 처마는 이중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동종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청계사 소장 목판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어 있다. 절 입구에는 2개의 사적비가 있고, 사찰 주위의 계곡이 좋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010,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진 : 니콜라이

글    : 수산나


 

 

'사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산성 국청사  (0) 2012.02.19
남한산성 개원사  (0) 2012.02.19
마이산 은수사  (0) 2012.01.17
마이산 탑사  (0) 2012.01.17
마이산 금당사  (0) 2012.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