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백함(澹泊)
담백함은 가난뱅이가 살아가는 법
등불없어 달 뜨기만 기다린다
꽃을 꺾자니 사랑스러운 것을 어떻게 없애고
풀을 베자니 산 것을 차마 해치랴
백발은 당연히 내 차지고
청산은 어느 누가 욕심을 낼까
미친 노래 부르다가 한 해도 저무나니
가을의 기운 검처럼 서슬 퍼렇다
- 허필(1709~1768) -
| |
담박빈가사(澹泊貧家事)
무등대월명(無燈待月明)
절화난할애(折花難割愛)
삼초인상생(芟草忍傷生)
백발응오유(白髮應吾有)
청산부숙쟁(靑山復孰爭)
광가당세모(狂歌當歲暮)
추기검쟁영(秋氣劒爭嶸)
- 허필(1709~1768) - | |
조선일보 기슴으로 읽는 한시(2012.4.7)
'담백함'이다.
설명은 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 교수가 했다.
인터넷 한자 바꾸기를 하는데 쟁의 한자가 안 나온다. 할 수없이 쟁(爭)으로 넣었다. (爭)앞에 뫼산(山)이 있는 글씨로 신문에는 있었는데 ....ㅠㅠ....^-^
가난을 담박빈가사(澹泊貧家事)라고 했다.
한문으로 읽는 것이 훨씬 시조의 맛이 난다.
무등대월명(無燈待月明)도 감흥이 있고,
청산부숙쟁(靑山復孰爭)은 여흥이 느껴진다. | |


청원군 문의문화재 단지~ 낭성 광정리 민가(충북 문화재 자료 제38호)

청원군 문의문화재 단지~ 낭성 광정리 민가(충북 문화재 자료 제38호)

청원군 문의문화재 단지~ 낭성 광정리 민가(충북 문화재 자료 제38호)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