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가슴으로 읽는 시] 2012.5.7(월)
한양호일(漢陽好日)
열대여섯짜리 少年이 芍藥(작약)꽃을 한아름 自轉車뒤에다 실어끌고 李朝의 낡은 먹기와집 골목길을 지내가면서 軟鷄(연계)같은 소리로 꽃사라고 웨치오. 세계에서 제일 잘 물디려진 玉色의 공기 속에 그 소리의 脈이 담기오. 뒤에서 꽃을 찾는 아주머니가 白紙의 窓을 열고 꽃장수 꽃장수 일루와요 불러도 통 못알아듣고 꽃사려 꽃사려 少年은 그냥 열심히 웨치고만 가오. 먹기와집들이 다 끝나는 언덕위에 올라서선 芍藥꽃 앞자리에 넹큼 올라타서 방울을 울리며 내달아 가오.
―서정주(1915~2000)
열대여섯 살의 꽃이 이제 막 핀 꽃을 팔러 다닌다. 하마터면 자기까지를 사겠다고 덤비는 이도 있겠다. 나 같으면 그러고 싶을 게다. 꽃에 반해서 자기 신명 속을 가는 소년이여. 나의, 우리들의 영영 잃어버린 고향이여. 꽃을 팔아 이문을 남겨 돈을 벌게 생겼는가. 꽃에 반해 그저 싱글벙글 한시라도 행복하겠는가. 막 목청 트인 목소리로 꽃을 사라고는 외치나 그것은 호객일 수 없고 그저 그러한 가사의 신명 들린 노래였으니 그 소리에 반해서 창호지 창문 열고 부르는 아주머니의 표정도 꽃빛이었을 터.
실지로 이 소년은 꽃을 팔기 위해서가 아니라 한양의 어느 골목의 풍경을 넉넉히 하기 위한 것이 제 일인 듯하다. 꽃 앞자리에 냉큼 앉아 내닫는 꽃 소년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과속이여. 나랑 자리를 바꿀까나. 먹기와집 위의 옥색 공기, 그 사이의 백색 창호문, 그리고 작약꽃의 그 진보라 내지 유백색의 꽃잎들, 이만한 색채면 저 색(色)의 마술사라는 앙리 마티스의 붓만 빌리면 되지 않겠나. 호일(好日)은 호일이다! [시평: 장석남 시인]
서정주 [徐廷柱]한국 시인 브리태니커
호는 미당(未堂)·궁발(窮髮). 시세계의 폭넓음과 깊이로 해서 한국 현대시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손꼽힌다.
어린시절 서당에서 한학(漢學)을 공부하다가 부안 줄포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29년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1930년 광주학생운동과 관련하여 구속되었다가 기소유예로 석방, 이로 인해 퇴학당했다. 1931년 고창고등보통학교에 편입했으나 곧 자퇴하고 박한영의 도움을 받아 대한불교전문강원에 입학하여 불교와 관련을 맺게 되었다. 1941년 동대문여학교에서 교편을 잡은 후 동아대학교·조선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1960년 이후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해방 후에는 좌익측의 조선문학가동맹에 대응하여 우익측이 결성한 조선청년문학가협회의 시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동아일보사 문화부장, 문교부 초대 예술과장을 역임했다. 1949년 한국문학가협회 창립과 함께 시분과 위원장을 지냈고, 1950년 6·25전쟁 때는 종군 문인단을 결성했다. 1954년 예술원 종신회원에 추천되었고, 1977년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했다.
서정주(徐廷柱 1915년 5월 18일 ~ 2000년 12월 24일)는 토속적 불교적 내용을 주제로 한 시를 많이 쓴 한국의 이른바 생명파 시인이다. 호는 미당(未堂)이다..전라북도 고창군에서 출생했다. 남의 집의 종이 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33년 겨울 개운사 대원암에서 영호당 박한영 스님 밑에서 수학했다. 1936년 동국대학교를 중퇴하고 같은 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했다.[출처] 위키백과
생명파 시
자화상 서정주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깊어도 오지 않았다. 흙으로 바람벽한 호롱불 밑에 찬란히 틔어오는 어느 아침에도 |
작약 전체 모습
작약 꽃과 벌들 모습
작약꽃의 암술 수술 모습
작약 6월 열매
작약 6월 열매
'시·시조·성가·기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란- 이영도/삼청각 내부 닥종이 인형 1장 (0) | 2012.05.08 |
---|---|
냉이꽃- 이병기/냉이 4장 (0) | 2012.05.07 |
호젓한 집 (幽居·유거)- 송익필/문의문화재 단지 전망대 전경 2장 (0) | 2012.05.05 |
모란- 최정례/모란 사진 2장 (0) | 2012.05.05 |
예나 이제나-박경용/수암골 날개그림 벽화 (0) | 2012.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