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시조·성가·기도문

꽃―이덕규(1961~ )/나리 사진 6장

 

 

한 해 동안 캄캄한 흙 속을 뒤져 찾아낸 걸
한순간 허공에 날려버렸다

해마다 똑같은 패를 쥐고 나와
일 년치 노역을 아낌없이 걸고 던지는
화투(花鬪), 향기로운 꽃놀이 끝에

집에 가는 차비나 해라
국밥이나 먹어라 개평을 뚝 떼어주는
이 아름다운 도박판의 결정(結晶)

까맣게 굳어버린
갸륵한 농부님네 마음을 다시 흙 속에 묻는다

 

―이덕규(1961~ )

조선일보/가슴으로 읽는 시(2012.8.4)이다. 장석남 시인의 평이다.

 

시골 뜰에는 나리꽃이 한창이다. 이제 막 패기 시작하는 벼이삭들 또한 어느 꽃보다 아름답다. 논둑 곁을 달리는 시골 버스에서 듣는 소리다. "저 나리꽃이 피면 아이들이 방학을 한 거지? 맞지?" "에누리 없지" 그 노인들의 말과 말 사이에 한여름의 더위가 향기롭다. 몇 월 며칠에 방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나리꽃이 피면 하는 방학!

아무튼 요즘 아이들은 방학은 하지만 나리꽃이 필 때 방학이 온다는, 시적인 시간의 단위가 있다는 것은 모른다. 그뿐인가. 아이들은 나리꽃을 모른다. 그것을 자세히 보았다간 학급 순위에서 처진다. 나리꽃은 여름 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책 속에 있다. 하여 이 여름 숲에, 뜰에 나팔소리처럼 떠 있는 그 꽃을 알아보지 못한다. 그것을 자세히 볼 수 있는 시간이 없다. 나는 가끔 우리나라 법관들이 이 여름 한창인 나리꽃을 알까? 그 섭리를 생각해 보았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모든 꽃들이 흙 속 암흑 살림의 근면하고 긴장된 화투(花鬪)놀이라는 통찰이 없다면 우리들의 삶은 과연 이승의 제대로 된 꽃들일까?

 


바람났어꽃바람이 나서...개평을 떼어주는 꽃들을 이해하고 사랑하면... 정서적으로 풍부한 인간이 되지 않을까?

이덕규

1961년 경기 화성에서 태어났다.

시집으로 '밥그릇 경전' '다국적 구름공장 안을 엿보다'가 있다.

 

스무 살 가을밤이었다. 어느 낯선 간이역 대합실에서 깜박 잠이 들었는데 새벽녘, 어떤 서늘한 손 하나가 내 호주머니 속으로 들어왔다.
순간 섬뜩했으나, 나는 잠자코 있었다.
그때 내가 가진 거라곤 날선 칼 한 자루와 맑은 눈물과 제목 없는 책 따위의 무량한 허기뿐이었으므로.
그리고, 이른 아침 호주머니 속에선 뜻밖에 오천 원권 지폐 한 장이 나왔는데,
그게 여비가 되어 그만 놓칠 뻔한 청춘의 막차를 끊었고, 그게 밑천이 되어 지금껏 잘 먹고 잘 산다.
그때 다녀가셨던 그 어른의 주소를 알 길이 없어......, 그간의 행적을 묶어 소지하듯 태워올린다.

이덕규 시집
'다국적 구름공장 안을 엿보다' 의 '自序'


 

 

하늘나리...꽃이 하늘을 본다...^-^

 

하늘나리...꽃이 하늘을 본다...^-^

 

땅나리...꽃이 땅을 본다

 

땅나리...꽃이 땅을 본다

 

참나리...살눈이 있다

 

참나리...살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