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의 눈]레고랜드냐 고조선랜드냐
춘천 중도는 1967년 의암댐이 들어서면서 의암호 안에 형성된 섬이다. 역사도 짧고 규모도 작지만 명성만은 전국적이다.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가운데 하나인 ‘중도식 무문토기’의 명명지이자 귀화식물인 미국쑥부쟁이가 처음 발견돼 ‘중도국화’로 소개됐던 곳이기도 하다. 최근에도 이곳을 관광지로 개발하는 문제를 놓고 다시 전국적인 논란에 휩싸였다.
중도가 전국적인 관심지가 된 것은 이곳에 세계 최대 규모의 레고랜드를 조성하는 사업 때문이다. 영국 멀린사와 국내 컨소시엄이 5000억여원을 투자해서 어린이 장난감 레고블록을 주제로 한 놀이공원과 레고호텔, 콘도, 워터파크, 상가 등을 짓는다고 한다. 예정대로라면 지금까지 가장 크다는 영국 레고랜드(60만㎡)의 두 배가 넘는 규모(약 130만㎡)의 레고랜드가 중도에 들어서게 된다.
문제는 이곳에서 대규모 유적이 발굴되면서 불거졌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 925기, 고인돌 101기, 환호 등 총 1400여기의 청동기 시대 유구가 지난해 7월 1차 발굴조사 결과 확인됐다. 지금까지 국내 단일면적에서 발굴된 최대의 유적이라고 할 만하다. 주거지 크기는 평균 31㎡(9평)이고 가장 큰 것은 172.5㎡(52평)에 이르는 등 다양했다. 중심구역 안의 주거지에서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비파형청동단검’과 청동도끼 등도 나왔다. 적게는 6000~7000명, 많게는 1만명이 거주한 대도시이고 수장급 지도자가 존재하며 귀족층·생산층·노동자층 등으로 신분이 나눠진 사회였음을 말해주는 것들이다.
기원전 14~11세기 청동기 시대에 1만명 가까운 인구집단을 형성한 도시라면 국가 수준으로 손색이 없는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지난달 23일 결성된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 보존 및 개발저지 범국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이를 고조선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적으로 간주하고 보존을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 7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춘천 중도 고조선유적지 학술회의’에서 이형구 선문대 석좌교수는 “중도 유적은 고고학상으로는 청동기 시대로 편년되나 역사적 편년으로는 고조선 시대”라면서 “어쩌면 우리가 잊고 있는 고조선의 또 하나의 실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고조선 얘기를 듣는 순간 이 교수도 함께했던 8년 전 ‘코리안루트’ 탐사 기억이 떠올랐다. 연해주, 바이칼 호수, 후룬베이얼(呼倫貝爾) 대초원, 다싱안링(大興安領)산맥, 만주, 랴오허(遼河)·다링허(大凌河) 유역 등을 답사하면서 한민족의 자취를 찾고자 한 기획이었다. 취재팀은 랴오허·다링허 유역의 훙산(紅山)문화 유적의 곳곳에서 한반도와 연결되는 단서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대미를 장식한 것이 ‘훙산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뉴허량(牛河梁) 유적이었다.
뉴허량 유적은 기원전 3500여년에 이미 초기 국가 단계의 3요소인 무덤과 제단, 신전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화문명의 시원을 1000년 이상 끌어올린 고고학적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전설로만 존재하던 황제(黃帝)의 실재를 입증하는 유적으로 보기도 한다. 국내 일각에서 황제와 전쟁을 벌였던 치우(蚩尤)와 연결시키는 시각도 있다. 어쨌든 뉴허량 적석총은 한반도 전역에 크게 유행한 묘제로서, 이번에 중도에서 발굴된 고인돌도 이와 유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놀라운 것은 내몽골 츠펑(赤峰)대 훙산문화연구원 방문교수로 가 있는 우실하 항공대 교수가 전한 뉴허량 유적의 지금 모습이었다. 8년 전 답사 당시 가건물로 보호하던 여신묘를 2층짜리 전시관으로 둘러싼 것은 그렇다손 치더라도 100m가 넘는 적석총 유적지를 그대로 둔 채 거대한 돔으로 덮어 보호한 것은 상상도 못한 일이었다. 축구장 3개 넓이의 유적지를 기둥 하나 없이 철골구조 돔으로 싸는 데 1700억원을 들였다고 한다.
이에 비하면 중도 유적의 운명은 서글프기 짝이 없다. 사업 추진을 위해 일부 고인돌 및 유적은 이전, 나머지 유적은 복토 보존키로 했기 때문이다. 벌써 고인돌 이전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맞서 운동본부는 공사금지 가처분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해놓고 있다. 운동본부는 춘천시를 ‘고조선 역사 문화 특구’로 지정해 유적을 보존·복원하고 레고랜드는 유적과 유물이 적게 나오는 상중도나 옛 미군기지인 캠프페이지에 짓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깊이 고민해볼 일이다. 가능하다면 춘천이 ‘레고랜드’와 ‘고조선랜드’를 다 가질 수 있는 길일 터이다.
(요점)
춘천 중도- 레고랜드냐 고조선랜드냐
춘천 중도는 1967년 의암댐이 들어서면서 의암호 안에 형성된 섬이다....
한반도 중부지역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가운데 하나인 ‘중도식 무문토기’의 명명지이자 귀화식물인 미국쑥부쟁이가 처음 발견돼 ‘중도국화’로 소개됐던 곳이기도 하다....
중도에 영국 멀린사와 국내 컨소시엄이 5000억여원을 투자해서 어린이 장난감 레고블록을 주제로 한 놀이공원과 레고호텔, 콘도, 워터파크, 상가 등을 짓는다고 한다. 예정대로라면 지금까지 가장 크다는 영국 레고랜드(60만㎡)의 두 배가 넘는 규모(약 130만㎡)의 레고랜드가 중도에 들어서게 된다.
문제는 이곳에서 대규모 유적이 발굴되면서 불거졌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 925기, 고인돌 101기, 환호 등 총 1400여기의 청동기 시대 유구가 지난해 7월 1차 발굴조사 결과 확인됐다. 지금까지 국내 단일면적에서 발굴된 최대의 유적이라고 할 만하다. 주거지 크기는 평균 31㎡(9평)이고 가장 큰 것은 172.5㎡(52평)에 이르는 등 다양했다. 중심구역 안의 주거지에서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인 ‘비파형청동단검’과 청동도끼 등도 나왔다. 적게는 6000~7000명, 많게는 1만명이 거주한 대도시이고 수장급 지도자가 존재하며 귀족층·생산층·노동자층 등으로 신분이 나눠진 사회였음을 말해주는 것들이다.
기원전 14~11세기 청동기 시대에 1만명 가까운 인구집단을 형성한 도시라면 국가 수준으로 손색이 없는 규모라고 할 수 있다. 지난달 23일 결성된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 보존 및 개발저지 범국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이를 고조선의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적으로 간주하고 보존을 주장하고 나섰다.
8년 전 ‘코리안루트’ 탐사 취재팀은 랴오허·다링허 유역의 훙산(紅山)문화 유적의 곳곳에서 한반도와 연결되는 단서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대미를 장식한 것이 ‘훙산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뉴허량(牛河梁) 유적이었다....놀라운 것은 8년 전 답사 당시 가건물로 보호하던 여신묘를 2층짜리 전시관으로 둘러싼 것은 그렇다손 치더라도 100m가 넘는 적석총 유적지를 그대로 둔 채 거대한 돔으로 덮어 보호한 것은 상상도 못한 일이었다. 축구장 3개 넓이의 유적지를 기둥 하나 없이 철골구조 돔으로 싸는 데 1700억원을 들였다고 한다.
운동본부는 춘천시를 ‘고조선 역사 문화 특구’로 지정해 유적을 보존·복원하고 레고랜드는 유적과 유물이 적게 나오는 상중도나 옛 미군기지인 캠프페이지에 짓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깊이 고민해볼 일이다. 가능하다면 춘천이 ‘레고랜드’와 ‘고조선랜드’를 다 가질 수 있는 길일 터이다.
[춘천 중도-레고랜드냐 고조선랜드냐]
1967년 의암댐이 들어서면서 의암호에 형성된 섬 춘천 중도...
춘천은 대학교 때 MT를 가던 단골 장소로 추억이 어린 곳 인데...
춘천 '중도'는 철기시대 대표 유물 '중도식 무문토기' 명명지이고...미국쑥부쟁이가 처음 발견되어 '중도국화'로 소개되었다고 하니 반갑다...ㅎㅎ...
게다가 춘천 중도가 고조선의 실체일 수 있다고 하니...설레기도 한다...ㅎㅎ...
가능하다면 춘천이 ‘레고랜드’와 ‘고조선랜드’를 다 가질 수 있는 길을 마련하기를 희망한다...
‘훙산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뉴허량(牛河梁) 유적을 1700억원을 들여...
100m가 넘는 적석총 유적지를 거대한 돔으로 덮어 보호하는 상상도 못한 일이 중국에서 실천했는데...
우리나라도 본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ㅎㅎ...
- 2015년 1월22일 목요일...오후 11시30분...수산나 -
미국쑥부쟁이1
미국쑥부쟁이2
미국쑥부쟁이3
미국쑥부쟁이4
미국쑥부쟁이 5
'한국 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혜공주의 아들 정미수 /국립중앙박물관 말채나무 등 6장 (0) | 2015.02.25 |
---|---|
와이로(蛙利鷺) (2015.2.19.목) /쇠백로 4장 (0) | 2015.02.20 |
[경향의 눈]‘지록위마’ 제대로 읽는 법(2015.1.22.목)/주목 꽃 3장 (0) | 2015.01.20 |
[이훈범의 생각지도] 간신은 간신처럼 생기지 않았다(2015.1.19.월)/을사늑약문 등 5장 (0) | 2015.01.17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평생 즐겨 장수한 건강음식-'보리밥과 다시마'(2015.1.18.일)/대한민국역사박물관-한일협정반대시위 등 12장 (0) | 201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