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9일(수) 오늘의 글
이번 가을에는 / 정용철 이번 가을에는 그동안 버려두었던 단어 몇 개를 내 가슴에 품고 마음깊이 스며들도록 할 것입니다. 그것은 은혜. 감사. 사랑. 평화. 순결. 용기. 자유. 겸손. 지혜. 용서. 고독. 진실. 동행. 영원입니다. 이번 가을에는 아직도 행하지 못한 몇 가지 일들을 할 것입니다. 그것은 사랑하기. 욕심 버리기. 단순하기. 따뜻하기. 깊이 생각하기. 목소리 낮추기. 격려하기. 칭찬하기. 오래 참기. 많이 나누기입니다. 이번 가을에는 그동안 잊고 지내던 내 이웃을 향해 조용히 다가갈 것입니다. 그분들은 외로운 사람. 가난한 사람. 마음에 상처 입은 사람. 슬픔속에 있는 사람. 몸이 불편한 사람. 몸이 갇힌사람입니다. 이번 가을에는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자연의 모습을 텅 빈 마음으로 바라볼 것입니다. 그것은 붉은 단풍 위에 펼쳐지는 쪽빛 하늘, 황금 들판, 투명한 햇살 속에서 익어가는 열매, 들에 핀 국화입니다. 이번 가을에는 그동안 들리지 않았던 아름다운 소리를 귀담아들어 볼 것입니다. 그 소리는 가을을 전하는 노랫소리. 풀벌레소리. 가을비 소리. 농부의 타작 소리. 아이의 웃음소리 가족의 기도 소리입니다. 이번 가을에는 아직도 내 마음 밭에서 자라고 있는 몇 그루 나무를 뽑아낼 것입니다. 그 나무는 불평의 나무. 낙심의 나무. 의심의 나무. 이기심의 나무. 교만의 나무. 무관심의 나무. 게으름의 나무입니다. - 정용철의 '한 잔의 커피와 詩한편이 생각나는 가을' 에서 |
🍀바닷가 실버타운 老人들 [변호사 엄상익] 🥀🥀서가를 정리하다가 故 최인호 소설가가 수덕사에 묵으면서 쓴 에세이집을 발견했다. 그가 죽기 몇년전 쓴 글 같았다. 아마도 癌이 발견되기 前이었을 것이다. 투병기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책속에서 이런 말을 하고 있었다. '곧 닥쳐올 노년기에 내가 심술궂은 늙은이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말 많은 늙은이가 되지 않는 것이 내 소망이다. 무엇에나 올바른 소리 하나쯤 해야 한다고 나서는 그런 주책없는 늙은이, 위로받기 위해서 끊임없이 신체의 고통을 호소하는 그런 늙은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혜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하나 더 바란다면 전혀 변치않는 진리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죽는 날까지 간직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는 지금은 땅속에서 한줌의 흙이 되어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글이 되어 지금도 내게 말을 걸고 있었다. 그가 죽은 날 신문에 난 사진이 아직 뇌리에 생생하게 남아있다. 미소를 머금고 있는 서글픈 얼굴이었다. 그는 우리 시대의 아이콘 같은 인물이었다. 청년으로 영원히 늙지 않을 것 같았다. 그는 희랍인 죠르바같이 항상 기뻐하고 춤을 추며 떠들 것 같았다. 그런 그가 늙음과 病, 그리고 죽음을 바로 앞에 두고 침묵을 말하고 있었다. 노인에게 진리란 그런게 아닐까? 지난 2년동안 실버타운에 묵으면서 노인들의 지혜를 유심히 살펴보았다. 대부분이 그림자처럼 조용히 살고 있었다. 밥을 먹을 때도 혼자 조용히 밥을 먹고, 상을 닦고 의자를 제자리에 놓은 채 말없이 사라지곤 했다. 내 나이 또래의 다정한 교장선생님 부부의 모습이었다. 밀차를 잡고 간신히 한 발자국 한 발자국 조심스럽게 걸어가는 노인을 봤다. 혼자 고통을 참을 뿐 아픔을 얘기하지 않았다. 자식들이 다 성공해서 잘 산다고 하는데도 노인은 아들 얘기를 입에 담지 않는다. 젊어서 수십년 잠수부로 깊은 바닷속에서 외롭게 일하며 아이들을 키웠다는 노인이었다. 아내와 사별하고 실버타운에 들어와 혼자 고독을 견뎌내는 노인도 있었다. 아들과 손자가 보고 싶지만 혼자서 참아내고 있는 것 같다. 실버타운의 시설이 아무리 좋아도 그의 마음은 가족과 함께 있다. 그는 골프보다 손자의 손을 잡고 학교에 데려다 줬으면 더 좋겠다고 했다. 그는 평생을 비행기의 기장으로 승객을 태우고 지구의 하늘을 날았다고 했다. 깜깜한 밤하늘을 보면서 상자같은 조종실에 혼자 있을 때도 외로웠다고 했다. 의식있는 노인들의 불문율은 아픔과 고통에 대해 입을 닫는 것이었다. 세상의 남의 일에도 끼어들지 않았다. 며칠전 실버타운 로비에서 70대 후반의 한 노인과 잠시 대화를 나누었다. 하루 종일 몇마디도 하지 않는 조용한 사람이었다. 그는 암수술을 하고 요양을 와 있었다. 그는 대학 재학중에 고시에 합격을 하고 승승장구했던 전직 고위공직자였다. 젊은 시절 꽤 분위기 있는 미남이었을 것 같다. 그 역시 삶의 마지막은 고독과 완만한 죽음이 지배하는 바닷가의 실버타운에서 지내고 있었다. 그는 내게 품격있게 죽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밥과 물을 안먹고 이십일을 견디면 정확하게 죽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렇게 할 결심인 것 같았다. 지혜로운 노인들은 품위있게 죽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 90대의 한 노인은, 실버타운은 무의식의 먼나라로 향하는 사람들이 잠시 스쳐가는 대합실이라고 했다. 서로서로 어떤 인생을 살고 어떤 길을 왔는지 서로 말하지 않는다. 눈인사 정도를 할 뿐 자기 자리에 말없이 앉았다가 자기 차례가 오면 조용히 영원한 목적지를 향해 간다고 했다. 나는 '人生'이라는 소설의 결론 부분을 읽고 있는 것 같다. 아름다운 꽃도 언젠가는 시들듯 사람도 늙고 병들어 죽는다. 젊은 날의 성취와 실패, 웃음과 고민은 시시각각 변하는 스크린을 스치는 장면들이 아니었을까? 내 몸은 나의 영혼이 이 세상을 타고 지나가는 자동차가 아니었을까? 인생의 결론 부분에 와서 젊은 날을 돌이켜 본다. 그 때의 그 고민들이 정말 그렇게 심각한 것이었을까. 젊음과 건강, 그 자체만으로도 축복이었는지를 몰랐다. 늙어보니까 젊은 날 추구하던 돈과 명예, 地位가 다 헛되고 헛되다. 퇴근을 하고 저녁에 아들 딸이 좋아하는 아이스크림을 사가지고 집으로 들어가 나누어 먹으면서 활짝 웃을 때가 행복이었다. 🥀🥀🥀🥀🍃🍃🍃 |
'따뜻한 글·자녀교육·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011 글]소설가 한강(54)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강의 기적’ 이룬 번역의 힘 (1) | 2024.10.11 |
---|---|
[241010 글] 백만불짜리 웃음 /너의 아름다움을노래한다(한글날 기념시)은파 이종찬시인 (6) | 2024.10.10 |
[241008 글][말의 품위란?]/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조재형 신부) (7) | 2024.10.08 |
[241007 글]무엇이든 기대없이 좋아해 보라 (법륜스님)/ 말솜씨(고도편) (0) | 2024.10.07 |
[241004 글]'돈이면 다'라고 생각하는 사람(고도편)/참된 삶 (1)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