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나무 [mimosa tree]
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꽃말: 가슴의 두근거림, 환희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관목.
키는 3~5m 정도 자란다. 가지는 드문드문 옆으로 길게 퍼진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길이가 6~15m인 잔잎은 낫 같은 모양의 비대칭이며 원줄기를 향해 굽는다. 꽃은 양성으로 7월에 새 가지 끝에서 길이가 5㎝ 정도의 꽃대가 나와 피는데, 15~20개의 꽃들이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받침은 불분명하게 5개로 갈라지며, 종(鐘) 모양의 꽃부리[花冠]는 길이가 6㎜ 정도이며 5개로 갈라진다. 길이가 3㎝로 꽃잎보다 긴 수술이 25개 정도 달리는데 끝부분은 홍색, 밑부분은 흰색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길이가 12㎝ 정도인 납작한 모양의 꼬투리에는 5~6개의 씨가 들어 있고, 이듬해까지 그대로 달려 있다.
외국에서 도입되었으며 주로 황해도 이남의 따뜻한 곳에서 자란다. 넓게 퍼진 가지 때문에 나무의 모양이 풍성하게 보이고 특히 꽃이 활짝 피었을 때는 술 모양으로 매우 아름다워 정원수로 많이 심는다. 잎은 낮에는 옆으로 퍼지나, 밤이나 흐린 날에는 접힌다. 자귀나무라는 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밤에 잎이 접혀져 마치 자는 듯한 느낌을 주어서 잠자는 데 귀신 같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자귀나무의 한자 이름은 모두 비슷한 뜻의 합환목(合歡木)·합혼수(合婚樹)·야합수(夜合樹)·유정수(有情樹) 등으로 예전에는 부부의 금실을 위해서 이 나무를 집안에 심었다. 본 종(種)과 비슷한 식물로는 목포 유달산을 비롯하여 그 근처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인 왕자귀나무(A. coreana)가 있는데, 이는 자귀나무에 비해 잎이 훨씬 크고 수술이 많으며 꽃이 보다 흰 것이 특징이다.[출처] 브리태니커
합환목·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굽거나 약간 드러눕는다. 높이 3∼5m이고 큰 가지가 드문드문 퍼지며 작은 가지에는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낫같이 굽으며 좌우가 같지 않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6∼15mm, 나비는 2.5∼4.0mm 정도로서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7월에 피고 작은 가지 끝에 15∼20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얕게 5개로 갈라지고 녹색이 돈다. 수술은 25개 정도로서 길게 밖으로 나오고 윗부분이 홍색이다. 꽃이 홍색으로 보이는 것은 수술의 빛깔 때문이다. 열매는 9∼10월에 익으며 편평한 꼬투리이고 길이 15cm 내외로서 5∼6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밤중에 잎이 접혀지기 때문에 자귀나무라고 하며 소가 잘 먹는다고 소쌀나무라고 부르는 곳도 있다.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신경쇠약·불면증에 약용한다. 한국(황해도 이남)·일본·이란·남아시아에 걸쳐 분포한다. 작은잎이 길이 2∼4.5cm, 나비 5∼20mm인 것을 왕자귀나무(A. coreana)라고 하며 목포 유달산에서 자란다. [출처]다음 지식
자귀나무는 겨울잠을 오래 자는 특징이 있는데요~ 목련과 매화에 이어 진달래, 철쭉이 지고 난 5월 하순에야 겨우 새순이 돋기 시작하는 것이죠. 그래서 자귀나무는 대추나무, 회화나무 등과 함께 잎을 늦게 피우는 잠꾸러기로 유명합니다. 이른 봄에 다른 나무들은 잎이 다 돋아났는데도 자귀나무만 잎이 돋지 않아, 죽은 나무인 줄 알고 베어 버렸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이죠~^^
예로부터 자귀나무는 사이 좋은 부부에 비유되곤 했습니다. 그래서 이 나무를 안마당에 심어 놓으면 부부의 금술이 좋아진다고 하여 많이 심었다고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옛날 중국에 우고라는 사람이 조씨 성을 가진 부인과 살았는데요. 그 부인은 단오가 되면 자귀나무의 꽃을 따서 말린 후, 그 꽃잎을 베개 속에 넣어 두었다가 남편이 우울해하거나 불쾌해하는 기색이 보이면 말린 꽃잎을 조금씩 꺼내어 술에 넣어 마시게 했습니다.. 그 술을 마신 남편은 곧 전과 같이 명랑해졌다고 합니다. 자귀나무가 이렇듯 부부의 금슬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바로 자귀나무의 잎이 가진 독특한 특성 때문입니다. 자귀나무의 잎은 버드나무 잎처럼 가늘며 마주 붙어 있는 겹잎입니다. 그런데 낮에는 그 잎이 활짝 펴져 있다가 밤이 되면 반으로 딱 접힙니다..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고, 잎들이 서로 사이좋게 붙어 잔다고 생각한 것이죠..^^[출처]다음 지식
콩과(Leguminosae) ● 합환목(合歡木)이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silk tree라고 합니다. 북한에서는 야합수라고도 부릅니다. ● 한의학에서는 자귀나무의 껍질을 합환피(合歡皮)라고 부릅니다. ● 산 중턱의 햇빝 따뜻한 곳에 사는 나무입니다. 키는 사람 키의 두 배 정도 됩니다. 잎은 어긋나며, 2회 깃꼴겹잎입니다. 꽃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약 20 송이가 산형화서로 붙으며, 양성화입니다. 수술이 두드러지게 보이는데 윗부분은 붉고 밑부분은 흰색입니다. 꽃은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합니다. 가을에 꼬투리 열매가 달리며 크기는 손가락 정도의 길이입니다. ● 관상용으로 심으며, 목재는 세공재로 사용됩니다. [출처]다음 지식
자귀나무(약재명: 합환피)
약재에 대하여
자귀나무는 아시아가 원산지로 콩과에 딸린 낙엽관목이다. 키는 5m쯤 자라고 여름철에 우상 모양으로 한 덩어리를 이룬 화려한 꽃이 피었다가 10월에 콩깍지처럼 생긴 열매가 익는다. 껍질은 홥환피라 하여 민간과 한방에서 약으로 요긴하게 쓰인다.
붉은 실타래를 풀어 놓은 듯한 꽃과 저녁마다 서로 맞붙어 잠을 자는 잎이 매우 인상적인 나무다. 합환목(合歡木),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등으로 불리며, 이 나무를 집 앞에 심으면 가정이 화목해진다는 속설이 있어서 정원이나 길가에 흔히 심는다.
약성 및 활용법
자귀나무껍질은 요통, 타박상, 어혈, 골절통 등을 치료하는 훌륭한 약재다. 봄이나 가을철에 껍질을 벗겨 흐르는 물에 5일쯤 담가 두었다가 약으로 쓴다. 물에 담그면 대개 약성이 약해지거나 순해지지만 자귀나무 껍질은 반대로 약성이 더 강해진다.
또 대개의 약초는 그늘에서 말려야 약성이 제대로 보존되지만 자귀나무는 햇볕에 말려야 약성이 살아난다.
자귀나무 껍질은 물에 달여 먹어도 좋고 가루 내어 먹어도 좋다. 가루 내어 먹으면 요통, 타박상, 어혈, 기생충증 등에 치료 효과가 높다. 자귀나무는 약성이 순하고 독성이 없으므로 오래 꾸준히 복용해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자귀나무 [mimosa tree] 잎과 꽃
자귀나무 [mimosa tree] 잎과 꽃
자귀나무 [mimosa tree] 잎과 꽃
자귀나무 [mimosa tree] 잎과 꽃
자귀나무 [mimosa tree] 잎과 꽃 자귀나무 [mimosa tree] 8월의 꼬투리 열매
'꽃이야기·꽃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망초/백합/장미/튜울립의 전설 (0) | 2012.06.28 |
---|---|
마가목(Mountain-ash)- 신중, 조심, 민감 (0) | 2012.06.28 |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자유로운 마음, 기다림 (0) | 2012.06.27 |
점나도나물..씨의 공중부양/개미자리..별이 잠자는 풀, 나는 당신의 것 (0) | 2012.06.10 |
아까시 나무- 품위 (0) | 201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