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예심화반

[문예심화반 제6강 글짓기 <내가 아끼는 것 야생화 사랑>]/참나무의 종류 등 5장


[문예심화반 제6강 글짓기 <내가 아끼는 것 야생화 사랑>]

 

나의 취미는 야생화 관찰, 식물 이름 알기이다. 내가 제일 아끼는 것은 사랑이다. 첫 번째 사랑이 하느님, 두 번째 사랑이 이웃, 세 번째 사랑이 자연이다. 자연 중에서도 특히 야생화에 대한 사랑이 많다. 20063월부터 시작했으므로 지금 11년째 이다. 초기에는 인근의 산이나 공원, 수목원에 나가 꽃을 관찰하고, 사진을 찍고, 도감을 펼쳐 이름을 알아냈다. 집에 있는 십여 권의 도감을 뒤져 이름을 찾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우리 동네 효자촌 도로변 가로수가 당느릎나무인 것을 안 것은 만 3년이 지난 후 였다. 나무의 수피나 잎만 보고서 그 동정(同定)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느 날 3년 째 되던 해에 열매가 달린 것을 보고서야 도감 속의 당느릎나무와 일치하므로 유레카!”를 외치며 즐거워했다. 그런데, 20155월에 모야모 회원으로 가입하고 나서는 이런 노고(勞苦)을 하지 않아도 된다. 겨울의 바싹 마른 열매나 막 피어 오른 어린잎의 사진이라도 모야모 질문란에 올리면 재야의 고수들이 즉각 동정(同定)하여 그 이름을 답해주기 때문이다. 너무 쉽게 답을 알아내므로 싱겁기까지 할 정도이다.


 처음 야생화 관찰을 하기 시작 할 때에는 일주일에 한두 번 나갔는데, 가까운 중앙공원, 탄천변, 율동공원, 맹산, 남한산성 등을 가거나, 아차산, 수리산, 관악산, 북한산, 도봉산 등의 먼 곳도 갔다. 오산의 물향기수목원, 은행동의 성남시립식물원, 홍릉국립수목원 등은 식물에 대한 안내판과 명판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자주 가서 시절에 따라 피는 꽃을 관찰하고 이름을 기억하고 사진촬영을 했다.


초기에는 구별이 쉽지 않았다. 모두 비슷비슷한 것 같았다. 도토리가 열리는 참나무류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갈참, 굴참, 졸참, 상수리, 신갈, 떡갈 등 6가지가 있는데, 이들을 구별할 수 있으면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한 것이란 말이 있다. 코르크 수피가 발달한 굴참, 잎자루가 없는 신갈, 떡갈, 잎의 모양이 길죽한 상수리, 굴참 등의 차이를 알기 위해 자주 보고, 되새기고 노력하자 어느 정도 동정(同定)할 수 있는 눈이 생기면서 다른 여타 나무들의 이름도 많이 알게 되었다.


나무들의 이름을 알게 되면서 나에게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 그들의 이름을 알아, 이름을 부르면,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듯 했고, 소통하는 마음이 들면서 나무 하나하나가 소중하고 사랑스럽게 느껴졌다. 어느 해 가을엔가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단풍 구경을 갔었다. 예전의 나는 대공원의 단풍든 모습이 마치 금수강산 수놓은 한 폭의 산수화 같은 모습으로 뭉뚱그려서 감탄하였다면, 나무의 이름을 알고 나서 걷는 대공원 거리는 단풍든 나무마다 살아 있는 하나의 생명체로 정감 있게 나에게 다가왔다.


7개의 커다란 잎이 짙은 벽돌색으로 물들어 훤칠한 키를 자랑하는 칠엽수는 꿋꿋하고 의젓한 아버지의 모습으로 보였다. 그 옆에 노란색 풍성한 잎을 자랑하며 화사하게 단풍든 백합나무는 활달하고 푸근한 어머니 모습으로 다가왔다. 농염하게 빨간색으로 물들은 벚나무 잎들이 잎자루가 길어 흔들리는 모습은 화려했던 봄날의 핑크빛 추억을 속살거리는 여자들의 명랑한 모습으로 비쳤다. 도로 한가운데 일렬로 죽 늘어선 느티나무의 단풍이 붉은색만 있는 것이 아니라 주황색, 노랑색이 있으며 이런 색들이 섞인 나무도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형(樹形)이 우산모양인 느티나무는 정자목으로서 사람들에게 그늘을 제공하기 안성맞춤인데, 가지에 잎이 달린 모습은 질서정연하여 육군사관 생도들의 제식훈련하는 모습으로 겹쳐 보이기도 했다. 시인이 따로 없었다. 내가 시인이 된 것 같았다.


그뿐만이 아니다. 어떤 야생화의 첫 만남으로 그 이름을 알 때는 그것이 첫사랑으로 바뀌어 버린다. 두 번째, 세 번째 같은 식물을 볼 때는 이상하게도 첫 만남 일 때의 그 시점으로 되돌아가 그 때의 모습, 그때의 환경, 그때의 정감이 명료하게 떠오르며 잊혀지지 않고 추억하게 된다.

남한산성 지화문(남문)에서 검단산으로 가는 길목 왼쪽 숲 그늘에 무리지어 피었던 얼레지꽃과의 화려했던 만남, 남한산성 동문 건너편 소나무 밑에 고개 수그려 단아하게 피었던 처녀치마의 오롯한 모습, 시구문 밖 눈 덮인 곳에 동그랗게 눈 녹이고 피어있던 앉은부채의 부처님 같은 모습, 무갑산 계곡에 은은하고 운치있는 모습을 연출했던 너도바람꽃의 깜찍한 자태 등 떠올리면 첫사랑의 추억으로 일련의 기억들이 소중하게 내 마음의 보석으로 차곡 차곡 쌓여가고 있는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 ‘사랑하는 만큼 삶이 풍요로울 수 있다는 사실에 감사하다.

 

- 2017127일 금요일...수산나 -




참나무의 종류



얼레지



처녀치마


앉은부채


너도바람꽃